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5

2023.08.15. 순창 강천산 강천사 와 삼인대 탐방 ◎ 순창 강천산 강천사 강천문 - 강천사 일주문을 대신한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887년(진성왕 1)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혹은 1482년(성종 13)에 작성된 『강천사모연문』에 보면 신령(信靈)이 광덕산(廣德山) 가운데서 명승지를 골라 초암을 짓고 지낸 것에서부터 유래한다고 나와 있다. 강천사 앞 쉼터에 돌탑이 즐비하다. 간절한 기도 강천사 입구 기와시주 대웅전 전경 대웅전과 오층 석탑 1316년(충숙왕 3) 덕현(德賢)이 오층석탑과 12개 암자를 창건하여 사세(寺勢)를 확장하였으며, 1482년(성종 13)중조(中照)가 신말주(申末舟)의 부인 설씨의 시주를 얻어 중창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이 절과 12개의 부속암자가 전소되었으며, 1604년(선조 37).. 2023. 8. 23.
2023.08.13. 경남 함양군 지리산 한신계곡 산행 1. 일자 : 2023.08.13.(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트레킹 구간 : 백무동 야영장 - 첫나들이 폭포 - 가내소폭포 - 오층폭포 - 한신폭포 - (원점회귀) 국립공원 지리산 내에는 칠선계곡, 대원사계곡, 피아골, 뱀사골, 한신계곡 등 여러 골짜기가 있지만, 그중 피서철 등산인들이 많이 몰리는 골을 꼽으라면 역시 뱀사골과 한신골을 들 수 있다. 최고 비경의 골짜기는 칠선골을 꼽지만, 칠선골은 매표소에서 약 2시간 거리인 비선담까지만 산행이 허용되고, 이후 천왕봉까지 이어지는 등로는 자연휴식년제로 산행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대원사계곡은 울창한 숲과 풍부한 수량을 자랑하지만 등산로가 물줄기를 한참 벗어나 있어 계곡산행의 멋을 즐기기는 어렵다. 반면 뱀사골과 한신계곡은 계류를 바로 .. 2023. 8. 23.
2023.07.30. 경남 함양군 황석산(1,192m) 산행 1. 일자 : 2023.07.30.(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유동마을-망월대-황석산성- 황석산-거북바위-북봉-뫼재-쉼터-산내골-영암사-사평교 황석산은 남덕유산 남녘에 솟은 범상치 않은 바위산이다. 백두대간 줄기에서 뻗어 내린 네 개의 산 기백,금원,거망,황석 가운데 가장 끝 자락에 흡사 비수처럼 솟구친 이 봉우리는 덕유산에서도 선명하게 보인다. 가을철에는 거망에서 황석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광활한 억새밭이 장관이다. 금원, 기백산과의 사이에는 그 유명한 용추계곡이 있다. 6.25때 빨치산 정순덕이 활약했던 곳이 바로 이웃의 거망산이다. 황석산성은 함양땅 안의, 서하 사람들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정유재란 당시 왜군에게 마지막까지 항거하던 이들이 성이 무너지자.. 2023. 8. 23.
2023.07.23. 지리산 청학동 회남재(김다현) 숲길 우중 트레킹 1. 일자 : 2023.07.23.(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트레킹 구간 : 묵계초교 - 회남재 - 회남재(김다현 길) 숲길 - 청학동 삼성궁 입구(10km) ◎ 묵계초교 - 회남재 4km ◎ 회남재 `회남(回南)재`는 경의사상(敬義思想)을 실천철학으로 삼은 조선시대 선비 남명(南冥) 조식(1501∼1572) 선생이 후학을 양성하던 산청 덕산에서 악양이 명승지라는 말을 듣고 1560년경 이곳을 찾았다가 돌아갔다고 해서 붙여졌다. 이 고갯길은 조선시대 이전부터 하동시장ㆍ화개장터를 연결하는 산업활동 통로이자 산청ㆍ함양 등 지리산 주변 주민들이 널리 이용하던 소통의 길이었으며, 지금은 주변의 뛰어난 풍광을 즐기며 등산과 걷기 동호인으로부터 사랑받는 트레킹 코스로 유명하다. ◎ 회남재 숲길(김다현.. 2023. 7. 28.
2023.07.16. 광양 백운산 - 동곡계곡 산행 1. 일자 : 2023.07.16.(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트레킹 구간 : 진틀-병암-삼거리-백운산-신선대- 한재 - 논실 - 진틀(원점 회귀) ◎ 광양 백운산(白雲山 , 1222m) 우리나라에서 가장 맑고 깨끗한 강...섬진강을 가운데 두고 지리산과 마주하고 있는 백운산은 광양시의 옥룡면, 다압면, 진상면, 봉강면에 걸쳐있는 산이다. 주산인 백운산은 동쪽으로는 매봉(888m)과 쫓비산으로 이어지는 호남정맥, 서북쪽으로는 도솔봉(1123m), 형제봉(1125m), 또아리봉(1120m), 신선대(1115m), 새재와 한재, 남동쪽으로는억불봉(1000m), 노랭이봉을 중심으로 남으로 남으로만 내려 뻗치는 여러개의 지맥을 가진 전남지방에서는 지리산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산이며 호남정맥의 최고봉.. 2023. 7. 18.
2023.07.02. 포항 내연산 보경사와 보현암 탐방 트레킹을 하거나 산행을 하고 그 곳에 자리한 절집에 대하여 여러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리하여 오고 있다. 나의 또 다른 취미가 되었다. 이를 통하여 불교에 대하여 조금씩 알아가는 것이 사뭇 재미 중의 하나다. 이번에는 포항 내연산 보경사이다. 포항 내연산 12 폭포 계곡 숲길 트레킹을 하고 이곳의 유명한 보경사를 찾았다. 신라 때 창건한 절이니 천년의 고찰이다. 보물이 5점 있는데 나는 경내에 있는 2점만 보고 경 밖의 3점은 시간 제약으로 보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다. 언젠가 시간이 여유로울 때 다시 찾기로 한다. ◎ 포항 내연산 보경사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602년(신라 진평왕 25)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대덕(大德) 지명(智明)에 의하여 창건되었다. 지명은 .. 2023. 7. 4.
2023.07.02. 포항 내연산 12 폭포 - 겸재 정선 선생이 진경산수화를 그린 곳 12개 폭포 따라 걷는 계곡 숲길 ◎ 포항 내연산 12개 폭포 트레킹을 떠난다. 포항은 포항제철로 상징되는 우리나라 공업도시로 탈바꿈하였다. 고래잡이나 울릉도를 가려면 출발하는 항구가 포항이다. 동해안의 중요한 항구이다. 이런 포항이 품고 있는 비경이 있다. 내연산과-향로봉-매봉-삿갓봉-천령산으로 둘러싸인 긴 계곡이 삼용추계곡이다. 그 모양이 마치 용이 숨어 살다가 꿈틀 거리며 기암들을 휘어감고 하늘로 승천하는 그런 아름다운 풍광이다. 주왕산 같은 지질구조로 협곡이 잘 발달하여 긴 계곡에 12개의 폭포가 장관을 이루며 가히 그 경관이 우리나라 최고라 할만하다. 연산폭포까지 8개 폭포는 등로와 가까이 있어 쉽게 볼 수 있지만 연산 폭포 위로 먼거리에 있는 4개의 폭포는 쉽게 다가 가기가 어렵다. 대부분은 은폭포까지 둘러보고 내려온다. 조선.. 2023. 7. 3.
2023.06.25. 산청 남명 조식선생(남명 기념관-산천재-덕천서원) 경의 사상을 따라 걷는다. ◎ 남명 조식 처사를 만나는 소감 남명 조식선생을 만날 수 있어 가슴이 뛴다. 학창시절 남명 조식선생에 대하여 어렴풋이 들었다. '퇴계 이황에 버금가는 훌륭한 선비이다' 정도이다. 남명 조식 선생이 후학을 가르친 산천재를 여러번 들렸지만 그냥 지나갔을 뿐 깊이 있게 들여다 보지 못했다. 이번에 지리산 둘레길 9코스를 걸으면서 다시 남명 조식 선생님을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었다. 들여다 보면 볼 수록 깊이가 한이 없고 우러려 본받아야 할 덕목이 헤아릴 수 없어, 내 나이 6학년 중반을 넘어서 이런 훌륭한 분을 만난 것이 늦었지만 그나마 다행이다. 조선시대에 사셨지만 지금 우리에게 주신 가르침은 울림이 크다. 경은 내 안에 있는 순수한 정신을 찾아가는 수양 방법이다. 몸가짐을 가지런히 하고 엄숙하게 하여 마.. 2023. 6. 29.
2023.06.25. 지리산둘레길 9코스(덕산-위태)- 경남창의대 의병길을 걷다. 1. 일자 : 2023.06.25.(일) 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 3. 산행구간 : 지리산둘레길 9코스 : 덕산-위태(11.0km) 5. 산행소감 2021.09.22. 지리산둘레길 8코스를 마무리하고 오랜시간이 흘렀다. 오랜기간 함께 할 산우님을 찾았지만 여러사정이 여의치 않아 마땅한 산꾼이 없었다. 오랜 기다림 끝에 광주지오트레킹과 지리산 둘레길을 다시 걸을 수 있어 다행이다. 한없이 기쁘고 행복하다. 진즉 마무리를 했어야 할 지리산둘레길을 마무리 못하고 멈춰 있는 것이 못내 마음에 걸렸는데 이제 다시 지리산둘레길을 걸을 수 있어 행복하다. 6월 지리산 둘레길은 이미 여름산행으로 접어 든다. 후덥지근하고 지루한 포도 위를 걷는 것은 고역이지만 또 구간 구간 시원한 바람과 울창한 숲 그늘을 만나고 .. 2023. 6. 26.
2023.06.18. 지리산 벽소령 1. 일자 : 2023.06.18.(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트레킹 구간 : 음정 - 벽소령입구차량차단기 - 연하천삼거리이정표 - 벽소령대피소 - 형제봉 - 삼각고지 - 연하천삼거리 갈림길 - 음정 국립공원 제1호로 지정된 지리산은 한국 8경의 하나이고 5대 명산 중 하나로, 웅장하고 경치가 뛰어나다. 그 범위가 3도 5개 군 15개 면에 걸쳐 있으며 4백 84㎢ (1억3천만평)로 광대하게 펼쳐져 있다. 한국의산하 연간 접속횟수가 28만으로 2위인 설악산 13만과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이다. 7-8월 여름휴가를 이용한 여름산행지로 가장 인기 있다. 여름의 시원하고 수려한 계곡과 산에서 2박 3일이 소요되는 지리산 종주산행이 보편화되면서 이 시기에 가장 많이 찾는다. 또한 지리산은 피아골과 뱀.. 2023. 6. 19.
2023.06.04. 단양 소백산 구인사 탐방 소백산 자락길 6구간을 트레킹하고 시간을 내어 우리나라 대한불교 천태종의 총본산 소백산 구인사를 둘러본다. 천태종 구인사를 이해하려면 우선 몇 가지 불교 상식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 조계종, 태고종, 천태종의 차이 대한불교는 원효대사에 의해 시작된 '선종'이 있고, 의상대사에 의해 시작된 '교종'이 있다. '선종'은 불경을 읽지 않더라도 명상 등을 통해 진리와 깨달음을 얻는 것이고, '교종'은 불경을 읽고 그 안에서 진리와 깨달음을 찾는 것이다.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합친 '천태종'이 생겼고,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합친 것이 '조계종'이다. 천태종의 가장 특징은 소의 경전을 '법화경(法華經)'으로 하고 7년 수행을 거치는 동안 잡일 등을 잘이겨 내.. 2023. 6. 8.
2023.06.04. 단양 소백산 자락길6구간 - 온달평강 로맨스길 1. 일자 : 2023.06.04.(일) 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 3. 트레킹 구간 : 고드너머재 - 방터 - 온달 산성 - 온달관광지 - 영춘면사무소 (13.8km) 실제로는 온달관광지까지 11.2km를 트레킹하고 구인사를 탐방한 관계로 온달관광지에서 부터 영춘면사무소까지 구간을 담지 못했다. 4. 산행소감 이때 쯤 소백산 연철쭉을 만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으나 기회가 없어 아쉬움만 간직한 째 세월만 흘러 가고 있다. 원거리이기도 하지만 함께할 산꾼이 없어 감히 엄두를 못내고 있던 참에 광주지오트레킹에서 소백산 자락길 트레킹을 한다기에 소백산도 보고 싶고 자락길은 처음인지라 호기심도 발동하여 배낭을 멘다. 소백산 자락길은 7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6구간은 온달평강 로맨스길이란다. 어릴적 바보 .. 2023. 6. 7.
2023.05.28. 남원 구룡계곡 구룡폭포 원시림 트레킹 1. 일자 : 2023.05.28.(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트레킹 구간 : 노치마을-덕운봉-수정봉(선택)-구룡봉-계곡-탐방센타 구룡계곡은 지리산 자락 서북쪽 끝에 걸쳐 있는 전북 남원시에 있는 계곡이다. 구룡사에서 시작되는 구룡계곡은 우리나라 삼신산(백두산, 한라산, 지리산)의 하나인 지리산에서 경치가 제일 좋다는 의미로 "방장제일동천(方丈第一洞天)"이란 글씨가 바위에 음각되어 있다. 구룡계곡(九龍溪谷)은 육모정(六茅亭)으로부터 북쪽 2.8km의 계곡으로 옛날 사월초파일이면 아홉마리 용이 하늘에서 내려와 아홉 군데 폭포에서 한 마리씩 자리 잡고 놀다가 승천했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지리산의 계곡이라고 하면 흔히 뱀사골, 피아골, 대원사계곡, 대성골 등을 떠올리지만 구룡계곡은 지리산 주능.. 2023. 5. 31.
2023.05.27. 코리아 둘레길 서해랑길 19코스 1. 일자 : 2023년 05월 27일 토요일 2. 누구랑 : 송아산악회 3. 코스 : 용해동주민센터-삼향동 행정복지센터-복룡마을회관-도림천-청계면복합센터(16.8km) 4. 트레킹 이모저모 2023. 5. 31.
2023.05.21. 충북 영동 백화산 반야사 탐방 충북 영동 백화산 자락의 주행봉을 올랐다. 라일락 향기가 진동하는 5월 하순 주행봉 칼날 암릉을 걷는 즐거움은 그야말로 환상이다. 원래 계획은 백화산까지 오르려 했으나 체력의 한계로 주행봉만 오르고 조금 여유로운 시간이 있어 영동 석천을 끼고 오롯이 자리잡은 반야사를 들러 본다. 아담하고 손색 없는 절집이다. ◎ 백화산 반야사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신라 성덕왕 19년(720) 의상의 제자인 상원이 창건했다고 한다. 고려 충숙왕 12년(1325)에 중건했으며, 조선 세조 10년(1464)에 왕의 허락을 받아 크게 중창한 뒤 세조가 대웅전에 참배했다고한다. 이때 문수동자가 세조를 절 뒤쪽 계곡인 망경대 영천으로 인도해 목욕할 것을 권했고, 황홀한 기분으로 돌아온 세조가 어필을 .. 2023. 5. 22.
2023.05.21. 충북 영동 라일락 향기 휘날리는 주행봉 칼날 암릉 산행 1. 일자 : 2023.05.21.(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트레킹 구간 : B코스 : 반야교-855봉-주행봉-백화산맥(칼날암릉 구간)-부들재-계곡쪽으로하산-계곡-반야교 주행봉(874m)은 영동군의 산으로서 산 아래에서 올려다보면 마치 돛을 활짝 편 거대한 배가 하늘을 떠다니는 모습을 하고 있어 주행봉이라 한다. 주행봉에서 백화산 으로 이어지는 공룡능선은 날카로운 기암괴석과 봉우리가 하늘에 떠있는 범선 형상으로 일렁이는 파도처럼 웅장하고 거대하다. 4. 산행소감 충북 영동은 산수가 수려하다. 특히 달이 머무러 놀다간다는 월류봉과 석천이 어울려 그려낸 아름다움은 한국의 100경이라 해도 손색이 없다. 석천 주변으로 화강암지대가 잘 발달되어 기암들이 즐비하고 백화산 한성봉과 칼날 암릉을 자랑하.. 2023. 5. 22.
2023.05.07. 오대산 월정사 탐방 오대산 월정사를 둘러본다. 월정사 하면 전나무 숲길이 유명하다. 편안하면서도 여유로운 전나무 숲길은 일주문에서 부터 월정사까지 오대천을 끼고 고적넉하게 잘 조성되어 찾는이로 하여금 아름다운 추억을 많이 간직하는 사색의 길로 유명하다. 오대산 월정사는 대한조계종 제4교구 본사로 너무도 유명한 절이다. 한암, 탄허, 만화 등 고승들을 많이 배출하였으며 우리나라 불교 수행 정진의 중심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오대산 월정사를 한번 가보고 싶었다. 기회가 없어 미루고 있던 차에 광주 지오트레킹에서 상원사-선재길-월정사 트레킹을 한다기에 만사 제치고 월정사를 탐방한다. 오대산 월정사는 신라 고승 자장율사가 인도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우리나라에 가져와 5군데 모셨는데 이를 5대 적멸보궁이라 하며,.. 2023. 5. 16.
2023.05.07. 오대산 상원사 탐방 오대산에는 5개의 기도처인 5대가 있다. 동대에 관음암(관세음보살), 서대에 수정암(대세지보살), 남대에 지장암(지장보살), 북쪽에 미륵암(미륵보살), 중대에 사자암(비로자나불)을 말한다. 오대산 5개의 기도처를 거느린 사찰이 상원사와 월정사이다. 먼저 상원사를 들려 본다. 상원사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모셔저 있는 적멸보궁이 있다. 상원사 적멸보궁인 줄 알았는데 월정사 적멸보궁이다. 전국엔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저 있는 대표적인 적멸모궁이 있는데, 태백산의 정암사,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오대산 월정사 등 강원도 내 4곳과 경남 양산 영취산 통도사의 적멸보궁을 합하여 5대 적멸보궁이라 한다. 상원사에는 조선시대 세조와 문수보살에 얼킨 설화와 고양이가 세조를 지켰다는 이야기도 유명하다. 시절은 .. 2023. 5. 11.
2023.05.07. 강릉 정동심곡 바다부채길과 해파랑길 35구간(심곡항 - 금진항) 트레킹 1. 일자 : 2023.05.07.(일) 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 3. 트레킹 구간 : 정동매표소 - 몽돌해변 - 투구바위 - 부채바위 - 전망타워 - 심곡매표소 - 심곡항 - 금전항 ◎ 천혜의 비경을 간직한 정동진 해안단구 탐방로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의 '정동'은 임금이 거처하는 한양에서 정방향으로 동쪽에 있다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심곡'은 깊은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이란 뜻에서 유래되었다. 4. 산행소감 정동진은 낭만이 넘치는 곳이다. 천혜의 경관을 자랑하는 동해바다와 수려한 대관령과 선자령 자락을 안고 있기에 서울이나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사람들이 주말을 이용하여 쉽게 찾는 곳이기에 더욱 인기가 높다. 2017년 11월 5일 이곳을 방문하고 나서 그러니까 5년이 지나서 다시 찾는다. 아련한 추억.. 2023. 5. 9.
2023.05.07. 오대산 선재길(상원산-월정사) 9km - 연초록 신록이 우거진 오대천을 따라 걷는 힐링 산길 1. 일자 : 2023.05.07.(일) 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 3. 트레킹 구간 : 상원탐방지원센터 - 상원교 - 동피골 오대산장- 연화교 - 오대산사고 갈림길 - 섶다리 - 보메기 - 회사거리 - 반야교 4. 산행소감 오대산 선재길은 오대산 상원산에서 월정사까지 오대천을 따라 걷는 숲길이다.예나 지금이나 스님들이 상원사와 월정사를 오가면서 걷는 깨달음의 길이요 명상의 길이다. 5월 초 온 산하가 연록색 푸르름으로 물들 때 오대천 맑은 물소리를 들으며 오롯이 걷는 오대산 선재길은 정말이지 별천지 같았다. 심산유곡이라는 것이 이를 두고 하는 말이다. 깨끗하고 한적하고 싱싱하고 여유로운 이 청정한 녹음과 맑은 물소리의 길을 걷노라면 자연스레 순수 그 자체가 된다. 예전에 오대산을 오를 때 6번 국도.. 2023. 5. 8.
2023.04.30. 합천 황매산 철쭉 산행 1. 일자 : 2023.04.30.(일) 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 3. 트레킹 구간 : 모산재주차장 - 돛대바위 - 무지개터 - 모산재(768m) - 이검이고개 - 제1철쭉군락지(850m) - 철쭉재단 - 하늘계단 - 산불초소(946.3) - 황매정각 - 600계단 - 전망대 - 황매산(정상1,113.1m) - 원점 회귀 4. 산행소감 우리나라 3대 철쭉 군락지 하면 합천 황매산 황매평전, 소백산 천상화원, 지리산 바래봉이다. 이맘 때 우리 산하 어디를 가든 철쭉이 없는 곳이 어디 있으랴. 소백산 칼 바람을 이겨내는 식물은 철쭉 밖에 없다. 그만큼 봄날 철쭉은 우리 산하에 친하게 접하지만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다. 황매산 철쭉도 1970년대 부터 우유 생산을 위한 목장을 하던 곳에 젓소가 다른 .. 2023. 5. 2.
2023.04.16. 광주 무등산 곰적골 야생화와 곰적폭포 산행 ◎ 산행코스 : 증심사주차장-중머리재-너와나의 목장-무돌길-곰적골계곡-곰적폭포-용연마을 ◎ 중머리재 ◎ 곰적골 곰적폭포 동영상에서 용연계곡은 곰적골로 용연폭포는 곰적폭포로 바로 잡습니다. ◎ 무등산 야생화 족두리꽃 무등 철쭉 양지꽃 제비꽃 윤판나물 병꽃나무 매미꽃 매미꽃 돌배나무꽃 고추나무 고추나무 반디지치 바위채송화 으름 으름 개나리자스민 등나무 꽃 매발톱 2023. 4. 17.
2023.04.09. 부산 장산 조망 산행 1. 언제 : 2023.04.09.(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구간 : 우이동-성불사-장산-안부-체육공원-양운폭포-폭포사-대천공윈주차장 부산의 도심에서 남해 바다를 내려다보며 우뚝 솟아 있는 장산은 그 범위가 넓어 다양한 등산 코스가 만들어져 있다. 해운대 마린시티와 광안대교를 조망하고 있다. 다양한 화산암들과 장산폭포, 돌서렁 등의 웅장한 지형이 넘쳐나며 뛰어난 해안도심 경관을 즐길 수 있는 명소이다. 역사적으로 옛날에는 상산이라 불렸다. 전설에 따르면, 상고시대에 산 아래 우시산국(于尸山國)이라는 작은 나라가 있었는데 '尸'는 고어로 'ㄹ'로도 읽고 'ㅅ'으로도 읽으므로 '울산' 또는 '웃산'이 되었다가 옛 동래지방에서 '웃뫼'라고 부르면서 상산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한다. 산행코스.. 2023. 4. 10.
2023.04.02. 진도 조도 돈대봉 섬 산행 -한국의 하롱베이 조망 산행 1. 언제 : 2023.04.02.(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구간 : 산행리-손가락바위-돈대봉-유토마을-신금산-하조도등대-창유항(택시로 원점) 하조도는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에 속한 섬이다.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남단에서 남서쪽으로 약 8.0㎞ 지점에 있다. 주위에는 북서쪽 0.5㎞ 지점에 상조도가 있다. 그밖에 나배도·죽항도·각을도·옥도·모도·대마도·길마도·장죽도 등이 산재해 있다. 섬들이 흩어져 있는 모습이 마치 새떼 같다하여 조도군도(鳥島群島)라 부른다. 상조도는 하조도 위쪽에 있다. 상조도와 하조도는 다리로 연결이 되어 있다. 조도대교이다. 상조도에는 유명한 도리산 전망대가 있다. 4. 산행 소감 진도 조도를 한번도 가보지 못해서 늘 그리운 곳이였다. 이번에 산악회에서 진도 조도.. 2023.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