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0

2019.10.03. 무등산 용추폭포가 보고 싶어서~ 1. 일자 : 2019.10.03.(목) 2. 누구랑 : 혼자 3. 산행 구간 : 증심사 주차장 - 세인봉- 중머리 - 용추폭포 - 증심사 주차장(원점) 4. 산행 소감 비 태풍이라는 미탁이 지나간 개천절 휴일 오후 용추폭포와 시무지기 폭포가 보고 싶어 어느 곳으로 갈까하다가 용추폭포를 향해 발걸음을 옮겼다. 늘 정겨운 새인봉 오른길은 가을 문턱이지만 싱그럽네요. 골짜기마다 불어오는 바람결에 실어 오는 스산한 낙엽소리는 가을을 재촉하는 그리움으로 가득하네요. 세인봉, 중머리 거쳐 용추폭포에 왔네요. 오랫만에 본 용추 폭포의 아름다운 모습은 오래토록 기억할 것 같네요. 웅장하고 정겹고 참 아름답네요. 5. 산행 추억 2023. 12. 21.
2019.11.17. 무등산 만추 산행 1. 일자 : 2019.11.17.(일) 2. 누구랑 : 지인 몇 사람 3. 산행 구간 : 생략 4. 산행 소감 서석대에 서있기가 어려울 정도로 강한 바람이 불었다. 짙은 안무와 함께 세차게 부는 바람이지만 아직 손이 시리지 않는 것을 보아 가을인가 보다. 5. 산행추억 2023. 12. 21.
2023.12.17. 전북 남원시 문덕봉(599.7m) - 고정봉 눈꽃산행 1. 일자 : 2023.12.17.(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비홍재 - 비홍산성 - 남원터널 - 문덕봉 - 고정봉 - 그럭재 - 서매마을 - 반월경로당 ◎ 비홍재 높이 260m. 이 고개는 남원시 대산면과 순창군 동계면, 그리고 주생면과 대강면의 경계를 이루는 노적봉(露積峰) - 풍악산(楓岳山) - 응봉(鷹峰) - 문덕봉(文德峰)을 연결하는 평균높이 400m 내지 500m의 분수령을 통과하는 고개로서 남원과 순창을 연결하는 국도 24호가 통과한다. 국도 24번은 전남 신안군 임자도에서 출발하여 울산광역시까지 주요 남부지역을 거치는 국도로 예로부터 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 산간지역과 남원을 중심으로 하는 전라북도 남부지역과 전라남도와 광주를 연결하는 주요국도였으며, 198.. 2023. 12. 19.
2023.12.10. 영산강트레킹 4구간(영산포 등대 - 영산강 5경 - 6경 - 승촌보 - 극락교) 22km 1. 일자 : 2023.12.10.(일) 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 3. 산행구간 : 영산포 등대 - 황포돛배 선착장 - 영산포 홍어거리 - 영산강 제5경 '금성상운' - 영산교 - 영산대교 - 빛가람대교 - 나주대교 - 영산강 문화관 - 영산강 제 6경 '평산낙안' - 승촌보 - 서창교 - 영산강자전거길 안내센터 - 극락교 (22km) ◎ 영포인트 트레일 무등 1187 무등산 정상인 인왕봉이 57년만에 개방되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해발고도 0m에서 무등산정상 1,187m까지 무동력으로(걸어서) 걷는 트레킹으로 광주지오트레킹(대장 김명수)에서 최초로 시도한 프로그램이다. 4. 산행 소감 하여간, 산길따라 20년, 숱한 산길을 헤매다가 이제 물길따라 걷자고 영산강변을 따라 걷는다. 희망이지만 우리.. 2023. 12. 11.
2019.10.13. 장흥 천관산 억새 산행 1. 일자 : 2019.10.13.(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장천재-선인봉-금강굴-구정봉-환희대-연대봉-정원석-봉황봉-문바위-주차장(9.5km) 5시간 ◎ 천관산(723m) 천관산(天冠山)은 전라남도 장흥군 관산읍과 대덕읍 경계에 있는 높이 723m의 산이다. 1998년 10월 13일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천관산은 지리산, 월출산, 내장산, 내변산과 함께 호남의 5대 명산중 하나다. 산이 바위로 이루어져 봉우리마다 하늘을 찌를 듯 솟아있다. 아기바위, 사자바위, 종봉, 천주봉, 관음봉, 선재봉, 대세봉, 석선봉, 돛대봉, 구룡, 갈대봉, 독성암, 아육탑 등을 비롯 수십개의 기암괴석과 기봉이 꼭대기 부분에 비죽비죽 솟아 있는데, 그 모습이 주옥으로 장식된 천자의 면류관 같.. 2023. 12. 8.
2019.11.10. 해남 두륜산 - 북미륵암 - 대흥사 산행 1. 일자 : 2019.11.10.(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오소재 - 오심재 - 북미륵암 - 만일암터 - 일지암 - 대흥사 - 주차장 ◎ 두륜산 [頭輪山] 700m 두륜산은 사찰, 유적지 등이 많고 한반도의 가장 남쪽 끝에 있는 산으로 난대성 상록활엽수와 온대성 낙엽 활엽수들이 숲을 이루고 억새밭이 무성하다. 두륜봉(630m), 가련봉(703m), 고계봉(638m), 노승봉(685m), 도솔봉(672m), 연화봉(613m), 향로봉(469m), 혈망봉(379m)등 여덟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로 이루어 졌고, 정상에서는 서해안과 남해안 곳곳의 다도해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두륜산은 대둔산이라고도 불렀는데 이는 산이란 뜻의 '듬'에 크다는 뜻의 관형어 '한'이 붙어 한듬- 대듬.. 2023. 12. 8.
2019.12.01. 진도 동석산(240m) 산행 1. 일자 : 2019.12.01.(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종성교회-칼능바위-동석산-석적막산-가학재-큰애기봉-세방낙조전망대-세방낙조 휴게소 (8km, 4시간) ◎ 진도 동석산(240m) 진도 동석산(240m)은 한반도 남서쪽 끝자락 진도군 지산면 심동리에 위치한 산으로서 다도해 조망이 뛰어난 암팡진 1.5km의 암릉 코스가 매력적이고 전국 어디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을 만큼 뛰어난 암릉미를 간직하고 있다. 정상에서 남쪽으로 뻗은 1.5km 길이의 주능선 전체가 거대한 바위성곽으로 이루어져 독특한 풍광을 자랑한다. 동석산은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아름다운 풍경의 바위산이다. 세방낙조 전망대의 바로 위로 동쪽에 위치한 산이 동석산이다. 동석산 산맥의 끝에 세방낙조가 자리 했으니 하나.. 2023. 12. 8.
2019.12.08. 경남 사천 와룡산 산행 1. 일자 : 2019.12.08.(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좌룡동-천왕봉(상사바위)-도암재-새섬바위-민재봉 못가서 하산길-청룡사-와룡동 ◎ 와룡산(801.4m) 와룡산은 800m의 산으로 경사가 급하여 쉽게 산에 오르기가 만만치 않다. 등산로는 남양동에서 주로 오르나 와룡마을 사람들은 와룡산의 정면이 와룡마을 쪽인데 정면에서 산을 오르지 않고 산의 뒤쪽인 남양동에서 오른다고 핀잔을 주기도 하는데 앞쪽에서든 뒤쪽에서든, 한번 올라보면 적당한 워킹과 아슬아슬한 암릉도 만끽할 수 있으며, 와룡산 그 자체도 매력 있는 산이지만 산아래 펼쳐진 그림 같은 풍경에 가히 반하지 않을 수 없다. 진양지에 기록된 와룡산의 사찰을 살펴보면 "백천사는 와룡사의 서쪽에 있다. 절의 동쪽과 서쪽으로.. 2023. 12. 7.
2019.12.15. 전남 해남 금강산(482.7) 산행 1. 일자 : 2019.12.15.(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금강저수지-우정봉-금강산성-금강산(482.7m)-금강령-420봉-금강재-쉼터-금강저수지 ◎ 금강산(482.7m) 해남 금강산과 만대산은 한반도 서남쪽 끝머리에 자리잡은 해남읍을 병풍처럼 두르고 있다. 한양과 멀다는 이유로 이곳은 귀양지로 이름을 날린 고장이다. 그러나 귀양 온 양반들이 심어놓은 문 화와 유적은 오랫동안 이어져 유배문화의 본산이 된다. 그 때문인지 해남의 산들에는 독특한 정서가 스며있어 산을 찾는 이들이 시 한 수를 읊고 싶어진다. 481m의 작은 산이지만 기암과 괴석으로 된 암장들이 포진해 있는 금강산 정상에서는 목포 영산강, 강진 덕룡산, 진도 첨찰산, 완도 상황봉, 영암 월출산 장흥 제암산, 천관.. 2023. 12. 7.
2019.12.22. 장성 불태산 산행 1. 일자 : 2019.12.22.(일) 2. 누구랑 : 원산우회원 3. 산행 구간 : 불태산 야영장 - 귀바위봉 - 큰재 - 깃대봉 - 불태산 야영장(원점) ◎ 장성 불태산(710m) 불태산(佛台山 710m)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진원면과 담양군 대전면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모산은 병풍산(822.2m)이다. 호남정맥 상의 450봉에서 호남정맥은 동쪽 추월산으로 달려가고 다른 한줄기가 담양군 월산면내를 동서로 나누며 남쪽으로 분기하여 도마산(430m)~바심재~용구산(730m)~천자봉(730m)~병풍산(822.2m)~투구봉(신선대 750m)에서 대치(한재 390m)~병봉산(685.2m)에서 장성읍과 대전면의 경계를 따라이어지는 병풍지맥상의 능선이다. 불태산은 그동안 남쪽 산자락에 군훈련소가 있어 민간인 .. 2023. 12. 7.
2019.12.25. 담양 병풍산(822m) 가족사랑 산행 1. 일자 : 2019.12.25.(수) 2. 누구랑 : 가족 3. 산행 구간 : 대방저수지주차장-천자봉-병풍산-만남재-성암야영장-저수지주차장(원점) ◎ 병풍산(826m) 담양 병풍산(屛風山,826m)은 전남 담양군 수북면,대전면,월산면 그리고 장성군 북하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동서 방향의 금학봉, 천정봉, 깃대봉 등 봉우리가 연봉을 이루고 있으며 불태산 사이에 장성과 광주를 잇는 고개인 한재가 있다. 산아래 에서 올려다 보면 산세가 북쪽을 막아주는 병풍을 둘러 놓은듯 보여 병풍산으로 불려지고 있고 본래는 용구산이었다. 산정 바로아래 바위에 굴이 있는데 그 안에는 신기하게도 두평 남짓한 깊은 샘이 있어 이 샘을 '용구샘'이라 하며 지금도 이곳에서 솟아오르는 깨끗한 생수가 등산객 들의 갈증을 덜어주고 .. 2023. 12. 7.
2020.03.14. 광주 무등산 약사암 - 석불암 산행 1. 일자 : 2020.03.14.(토)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지인 3명 3. 산행 구간 : 증심사주차장 - 약사암 - 복수초 군락지 - 중머리재 - 장불재 - 석불암 - 증심사 주차장(원점) 4. 산행 소감 무등 복수초가 보고 싶다. 훌쩍 배낭을 메고 무등으로 간다. 약사암을 지나 복수초 군락지에서 늦은 복수초를 만난다. 반갑다. 보고 싶은 복수초는 이미 많이 피어 봄을 듬뿍 머금었다. 내년엔 꼭 일찍 오겠다고 약속한다. 오랫동안 방치된 석불암에 관묵주지 스님이 오셔서 담을 쌓고 주변을 정리하며 새롭게 단장을 하고 있다. 화순군 지원을 받아 새롭게 법당을 지을 계획이란다. 잘 되길 기원한다. 법당 뒷편에 주목 8그루를 정성껏 심었다. 살아 천년 죽어 천년 석불암을 지키리라!!! 늦은 하산을 한다.. 2023. 12. 7.
2020.04.11. 장성 축령산 산행 1. 일자 : 2020.04.11.(토) 2. 누구랑 : 광주공고 동문 산악회 3. 산행 구간 : 추암주차장 - 안내센터 - 이정표 - 축령산 정상 - 무래봉 - 이정표 - 임도 삼거리 - 산소숲길 - 임종국 수목장 나무 - 임도 이정표 - 공덕비 - 추암주차장(원점회귀) 4. 산행 추억 2023. 12. 7.
2020.05.02. 화순 도곡 종괘산 - 수리봉 산행 1. 일자 : 2020.05.02.(토)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완화리 화남마을 - 정부경 한방차 옆으로 - 탐진 최씨묘 - 쌍교바위봉 - 쌍교바위 - 종괘산 - 수리봉 - 돌모랭이산 - 온천마을 입구 5.43km 4. 산행 추억 2023. 12. 7.
2020.01.01. 광주 무등산(1,187m) 1. 일자 : 2020.01.01.(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증심사버스종점-바람재-동화사터-중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중머리재-세인봉-증심사지구 ◎ 무등산(1,187m) 무등산은 전체적인 산세는 산줄기와 골짜기가 뚜렷하지 않고 마치 커다란 둔덕과 같은 홑산이다. 무등산의 특징은 너덜지대인데 천왕봉 남쪽의 지공너덜과 증심사 동쪽의 덕산너덜은 다른 산에서는 볼 수 없는 경관이다. 무등산은 완만한 산세로 대부분이 흙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태만상의 암석들이 정상인 천왕봉을 중심으로 널려 있어 그 웅장함으로 인하여 도민의 신앙대상이 되어온 신산으로 알려 졌다. 특히 서석대, 입석대, 규봉의 암석미는 대단하다. 무등산의 삼대 절경인 입석대, 서석대, 광석대를 일컬어 무등산 삼대석경이라.. 2023. 12. 7.
2020.01.05. 지리산 천왕봉 산행 1. 일자 : 2020.01.05.(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중산리 - 법계사(환경교육원 ) - 천왕봉 - 법계사 - 중산리주차장 (원점 회귀) ◎ 지리산 천왕봉(1,915m) 국립공원 제1호로 지정된 지리산은 한국 8경의 하나이고 5대 명산 중 하나로, 웅장하고 경치가 뛰어나다. 그 범위가 3도 5개 군 15개 면에 걸쳐 있으며 4백 84㎢ (1억3천만평)로 광대하게 펼쳐져 있다. 남한 제2의 고봉 천왕봉(1,915m), 노고단(1,507m)으로 이어지는 1백리 능선에 주능선에 만도 반야봉(1,751m), 토끼봉 등 고산 준봉이 10여개나 있으며, 85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이 있다. 정상에서 남원, 진주, 곡성, 구례, 함양 고을이 한눈에 들어온다. 주능선을 중심으로 해서.. 2023. 12. 7.
2020.01.11. 강원 태백산(1,567m) 눈꽃 산행 1. 일자 : 2020.01.11.(토) 2. 누구랑 : 광주공고 동문산악회 3. 산행 구간 : 유일사매표소 - 유도사산장 - 태백산장 - 유일사 - 장군봉 - 천제단 - 망경사 - 단종비각 - 반재 - 단군성전 - 석탄박물간 - 눈썰매장 - 당골매표소 ◎ 태백산(太白山, 1,566.7m) 강원도 태백시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567m.태백산맥의 종주(宗主)이자 모산(母山)이다. 함경남도 원산의 남쪽에 있는 황룡산(黃龍山)에서 비롯한 태백산맥이 금강산·설악산·오대산·두타산(頭陀山) 등을 거쳐 이곳에서 힘껏 솟구쳤으며, 여기에서 서남쪽으로 소백산맥이 분기된다. 태백산은 북쪽에 함백산(咸白山, 1,573m), 서쪽에 장산(壯山, 1,409m), 남서쪽에 구운산(九雲山, 1,346.. 2023. 12. 6.
2020.01.12. 덕유산(1,614m) 눈꽃 산행 1. 일자 : 2020.01.12.(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구천동 탐방센터-백련사-향적봉-설천봉-곤도라 하산 ◎ 덕유산(1,614m) 덕유산은 1975년, 오대산과 더불어 국내 10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소백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으면서 소백산, 속리산 등을 솟아오르게 한 후, 다시 지리산으로 가는 도중 그 중심부에 빚어 놓은 또 하나의 명산이라고 할 수 있다. 덕유산은 전라북도 무주와 장수, 경상남도 거창과 함양군 등 2개도 4개 군에 걸쳐 솟아 있으며, 해발1,614m의 향적봉을 정상으로 하여 백두대간의 한 줄기를 이루고 있다. 13개의 대(臺), 10여개의 못, 20개의 폭포 등 기암절벽과 여울들이 굽이굽이 이어지는 구천동 계곡은 예로부터 선인.. 2023. 12. 6.
2020.01.16. 장성 불태산 산행 1. 일자 : 2020.01.16.(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지인 2명 3. 산행 구간 : 한재(정상농원)-재막재-천봉-불태봉-갓봉-깃대봉(헬기장)-원점 산행 ◎ 불태산(710m) 불태산(佛台山 710m)은 전남 장성군 장성읍, 진원면과 담양군 대전면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모산은 병풍산(822.2m)이다. 호남정맥 상의 450봉에서 호남정맥은 동쪽 추월산으로 달려가고 다른 한줄기가 담양군 월산면내를 동서로 나누며 남쪽으로 분기하여 도마산(430m)~바심재~용구산(730m)~천자봉(730m)~병풍산(822.2m)~투구봉(신선대 750m)에서 대치(한재 390m)~병봉산(685.2m)에서 장성읍과 대전면의 경계를 따라이어지는 병풍지맥상의 능선이다. 불태봉은 그동안 남쪽 산자락에 훈련소가 있어 민간인.. 2023. 12. 6.
2020.01.19. 고흥 도화 활개바위와 지죽도 금강죽봉 산행 1. 일자 : 2020.01.19.(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1) 활개바위 : 내촌마을 - 해안 - 활개바위 2) 지죽도 금강죽봉 : 지호복지회관 - 삼거리 - 이정표 - 큰산 - 금강죽봉 - 죽순바위 - 석굴 - 삼거리 - 원점 ◎ 발포마을 활개바위 발포 앞바다 가운데 15리 쯤에 있으며 발포를 밝개라 하였으므로 밝개가 바뀌어 활개라 한다고 하며 또 어떤 이는 “활개”라는 것은 “활개치다”는 말과 함께 성행위를 뜻하고 바다 가운데 우뚝 솟은 두 개의 바위 중 하나는 “X바위”라 부르고 다른 하나는 구멍이 뚫려 있으므로 활개바위라 부른다고 한다. 배를 타고 지나면서 이 바위를 바라보면 배가 지나는 위치에 따라 “X바위”가 움푹 패인 곳으로 쑥 들어가게 된다고 한다. 자연의 장난스.. 2023. 12. 6.
2020.02.02. 충북 영동 민주지산 눈길 산행 1. 일자 : 2020.02.02.(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도마령→각호산(1.202m)→ 민주지산(1.241m)→석기봉→ 삼도봉(1.178m)→삼미골재 →물한계곡→황룡사→주차장(14.5km) ◎ 민주지산(岷周之山, 1242m) - 석기봉 충북 영동군 상촌면 물한리에 위치하며, 전북 무주군 설천면 대불리, 경북 김천시 부항면 민주지산은 충청, 전라, 경상, 삼도를 가르는 삼도봉을 거느린 명산으로 옛 삼국시대는 신라와 백제가 접경을 이루었던 산이기도 하다. 민주지산은 진달래 명산으로 진달래가 북으로 각호산,남동쪽으로 석기봉과 삼도봉으로 이어지며 8㎞의 주능선을 그리고 있다. 산 정상에 서면 장쾌하게 펼쳐진 산줄기와 멀리 덕유산과 무주리조트까지 한눈에 조망된다. 겨울에는 적설량이.. 2023. 12. 6.
2020.02.09. 남해 응봉산 - 설흘산 연계 산행 1. 일자 : 2020.02.09.(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선구마을-낙뇌산-전망대-첨봉-응봉산-망산-설흘산정상-가천다랭이마을(8km) ◎ 설흘산(488m) 경남 남해에는 진작부터 널리 알려진 금산 말고도 아름답운 좋은 산들이 많다. 그 가운데 하나가 남해군 남면 바닷가에 있는 설흘산(481.7m)이다. 이 산은 땅 위에 있는 산이 아니다. 자연이 바다 위에 만들어 놓은 아름다운 그림이다. 바닷가 사촌마을에서 시작하여 매봉(응봉산, 412.7m)을 지나 설흘산 주봉을 거쳐 역시 바닷가의 가천 마을에 이르는 약 5km의 암릉 줄기가 바다를 절벽 아래로 내려다보며 뻗쳐 있어 그야말로 바다 위에 그린 한 폭의 그림 같다. 설흘산이 아름다운 것은 주능선이 아기자기한 바위로 되어 있고.. 2023. 12. 6.
2020.02.16. 화순 웅성산(573.5) 시산제 산행 1. 일자 : 2020.02.16.(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 산행 구간 : 유격장-2주차장-쌍두봉-철웅산성-옹성산-쌍문바위-옹암바위-옹성산주차장 ◎ 화순 옹성산(573.5m) 화순군 동복면 안성리, 북면 다곡리, 이서면 장학리에 위치한다. 항아리를 엎어놓은 것 같은 바위봉우리가 여러 개 있어 옹성산이라 부른다. 빨치산 도당 사령부가 있던 백아산 능선에서 뻗었지만, 그 산세는 전혀 다르다. 웅성산은 모래와 자갈이 오랜 세월 퇴적작용을 거치면서 형성된 퇴적암이 솟아오른 것처럼 보인다. 바위 질은 단단하지 않지만 아기자기하고 짜릿한 등산로는 여타 주변의 산을 압도하고도 남는다. 산행의 시작점은 안성리 신성마을 입구. 도로 우측에 옹성산 안내도와 동복유격대 군부대가 보인다. 자가용은 1, 2주차장.. 2023. 12. 5.
2020.02.23. 영암 월출산(809m) 산행 1. 일자 : 2020.02.23.(일) 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 3명 3. 산행 구간 : 신성대 입구 - 산성대 - 광암터 삼거리 - 통천문 삼거리 - 천황봉 - 원점 회귀 4. 산행소감 봄이 오는 길목에 월출산 산성대의 추억이 새록새록하다. 예전엔 잔설이 월출 암반 사이로 운치를 더했는데 올해는 잔설은 없고 바람이 세차다. 그래도 봄은 오는가? 매화 향기 그윽한 봄바람 타고~ 5. 산행 이모저모 2023.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