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5

2025.04.27. 지리산 둘레길 22코스(산동-주천) 15.9km ◎ 지리산 둘레길 지리산을 둘러싼 80여 마을을 잇는 22구간 285km의 장거리 도보길이다. 지리산 곳곳에 걸쳐 있는 옛길,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길, 마을길 등을 연결해 트레킹이 가능하도록 환형으로 조성되었다. 차량통행이 많은 아스팔트 길, 안전이 우려되는 위험한 길, 해발 고도가 너무 높은 길 등은 연결을 위한 최소한의 구간을 빼고는 제외시켰다. 2007년 1월부터 조사·설계·정비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2012년 5월 전체 구간을 개통하고, 2014년부터 순환로를 포함해 22구간이 운영되고 있다. ◎ 지리산 둘레길에서 만난 "벅수" 길을 떠나는 이들에게 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는 장승은 우리 문화에 스며들어 있다. 벅수는 장승의 다른 말이자 우직하거나 바보스러움을 나타내는 .. 2025. 4. 29.
2025.04.20. 영암 월출산 수석정원 탐방 ◎ 영암 월출산 월출산(809m)은 전남 영암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영암군에 들어서면 멀리서도 산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이뤄져 호남의 금강산이라는 말이 실감케 한다. 지리산, 내장산, 천관산, 변산 등과 더불어 “호남의 5대명산”으로 불리며, 1988년 6월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고 총면적은 42㎢이다. 월출산은 천황봉(809m)을 중심으로 산 전체가 수석의 전시장이라 할 만큼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왕재 일대는 넓은 억새밭으로 되어 있고 월출 산악회에서 매년 갈대제를 지내는 곳이기도 하다. 백제의 왕인(王仁)박사와 신라말 도선(道詵)국사의 탄생지이기도 하며 호남의 소금강산이라 불린다. 또한 천황봉을 중심으로 남쪽에는 단아한 모습의 무위사, 서쪽에는 도갑사가 있는데 도갑사의 해탈문, 무위사의 극락전.. 2025. 4. 22.
2025.04.13. 고성 보현사 약사전 사량도 2025. 4. 14.
2025.04.13. 고성 운흥사 - 통일신라시대 창건 천년고찰, 임진왜란 승병의 지휘소 및 조선수군의 전적지 ◎ 고성 운흥사운흥사는 통일신라 676년에 의상대사(625~702)가 창건했다. 고성군 하이면 와룡리 와룡산 향로봉 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임진왜란 때에는 승병 활동의 근거지로 사명대사가 이곳에서 승병을 지휘하였으며 조선 수군의 주요 전적지였다. 임진왜란 중에 사찰 전체가 소실되었다가, 1651년에 다시 세웠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2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한 그밖에 범종루, 산신각, 요사채 등의 건물이 있다. 운흥사 소재 문화재 중 괘불탱 및 궤는 보물 제1317호, 관음보살도는 보물 제1694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그밖에 1690년에 만든 운흥사 범종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밀반출되었다. ◎ 일주문 일주문이라는 말은 기둥이 한 줄로 되어 있는 데서 유.. 2025. 4. 14.
2025.04.13. 고성 상족암 : 억겁년 세월의 흔적을 돌아보다. ◎ 고성 덕명리 공룡 및 새 발자국 화석지(천연기념물 제 411호) 이 곳은 중생대 백악기 시대의 공룡발자국 화석지로서 화석의 선명도나 다양성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곳으로 유라시아 대륙에서는 최대의 공룡발자국 화석지로 알려져 있다. 군바위(까마끝)와 다른 몇 곳에서는 새 발자국 화석도 나타나 있다. 또한 이 곳에서는 화석외에 다양한 퇴적 구조가 있으므로 약 1억 년 전에 살던 공룡의 생활 모습과 환경뿐만 아니라 공룡과 새의 진화 과정 등을 알려주는 학술적으로 대단히 귀중한 장소이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지역은 덕명리 제전 마을에서 해안을 따라 남서쪽으로 약 8km 거리인 덕호리 등대가 있는 곳까지이다. 이 지역에는 검은색 퇴적암 층이 거요, 전 해안을 따라서 나타나며 바다쪽으로 낮게 기운이서 있다.. 2025. 4. 14.
2025.04.12. 거창 수승대 ◎ 거창 수승대(명승 제 53호) : 심산유곡의 산수를 즐기다. 수승대는 영남 제일의 동천으로 이름난 '안의삼동' 의 하나인 원학동에 위치한 명승지이다. 화강암 암반과 함께 아름다운 숲이 어우려져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전국의 시인 묵객들이 무릉도원으로 여기며 즐겨 찾았던 곳이다. 이곳은 신라, 백제 간 국경지대였던 당시, 사신이 떠날 적에 안위를 걱정하며 근심으로 보냈기 때문에 '수송대' 라 하였다고 전한다. 한편으로는 이 일대의 빼어난 경관이 사람들의 근심을 잊게 하기 때문에 수송대라 불리었다는 설도 있다. 이 후 1543년(중종 38), 퇴계 이황 선생이 이웃 영승마을에 내방하였다가 수송대를 방문하고자 하였으나, 급한 정무로 떠나면서 그 이름이 아름답지 못하다 여겨 '수승대'로 바꾸고 오언율시를 남.. 2025. 4. 14.
2025.04.06. 남해바래길 15코스(설천면행정복지센터-노량선착장) 7.2km ◎ 남해바래길 이란?       251km, 본선 16개 코스, 지선 4개 코스, 섬바래길 3개 코스 개통 10주년을 맞아 2020년 새롭게 리모델링 된 '남해바래길2.0'은 총 251km로 본선 16개 코스와 지선 4개 코스, 섬바래길 3코스로 구성되었다. 남해는 500년 전부터 '꽃밭(花田)'이란 별칭으로 불렸던 아름다운 보물섬으로 산과 바다, 다랭이논, 죽방렴, 그리고 순박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섬이다. 남해바래길은 남해가 가진 천혜의 자연환경과 사람들을 두 발로 걸어서 완벽하게 만날 수 있는 걷기여행길이다. 지선 코스는 코스별로 원점회귀가 가능한 단거리 순환형 걷기여행길로 자가용 이용이 편하게 구성되었다. 섬바래길은 남해도 주변 아름다운 유인도 섬 3곳(조도, 호도, 노도)에 바래길을 만들었다. .. 2025. 4. 7.
2025.03.30. 지리산 둘레길 21코스(산동면사무소-방광) ◎ 지리산 둘레길 지리산을 둘러싼 80여 마을을 잇는 22구간 285km의 장거리 도보길이다. 지리산 곳곳에 걸쳐 있는 옛길, 고갯길, 숲길, 강변길, 논둑길, 농로길, 마을길 등을 연결해 트레킹이 가능하도록 환형으로 조성되었다.    차량통행이 많은 아스팔트 길, 안전이 우려되는 위험한 길, 해발 고도가 너무 높은 길 등은 연결을 위한 최소한의 구간을 빼고는 제외시켰다.  2007년 1월부터 조사·설계·정비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2012년 5월 전체 구간을 개통하고, 2014년부터 순환로를 포함해 22구간이 운영되고 있다.  ◎ 지리산 둘레길 21코스(방광 - 산동면사무소) 13.1km 지리산둘레길 21코스는 구례군 광의면 방광마을에서 산동면 산동면사무소까지 13.1km 거리이다. 산동면 들녁과 산.. 2025. 3. 31.
2025.03.29. 장성 백양사 고불매 ◎ 2025. 백양사 고불매 축제. 선, 매, 향.   ◎ 백양사 고불매  ◎ 백암산 고불총림백양사 일주문  ◎ 백양사 쌍계루  ◎ 고불총림백양사 현판  ◎ 3월 말 싸래기눈발이 휘날리는 백암산 전경 2025. 3. 31.
2025.03.23. 남파랑길 완도 88코스(완도 화흥초교 - 상왕봉 - 완도수목원 - 남파랑길 쉼터 - 원동리) 15.3km ◎ 남파랑길이란? 부산 - 해남 최장걷기여행길 총 90개 코스로 이루어진 1,470km의 걷기여행길 남쪽의 쪽빛 바다와 함께 걷는 길남해의 수려한 해안 경관과 대도시의 화려함 그리고농산어촌마을의 소박함을 체험하는 길이다. 남파랑길은 ‘남쪽(南)의 쪽빛(藍) 바다와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전남 해남 땅끝마을까지 남해안을 따라 총 90개 코스로 이루어진 1,470km의 걷기여행길이다. 남파랑길을 걷다보면 남해의 수려한 해안경관과 대도시의 화려함, 농산어촌마을의 소박함을 모두 만날 수 있다. ◎ 남파랑길 완도 88코스 트레킹구간 : 완도 화흥초교 - 상왕봉 - 완도수목원 - 남파랑길쉼터 - 원동리 15.3km    남파랑길 완도 88코스는 완도 상왕봉을 지나는 길이여서 트레킹.. 2025. 3. 24.
2025.03.16. 경남 거제 지심도 동백섬 봄마중 ◎ 3월 봄마중 지심도 동백섬을 향하면서 (광주원산우회와 함께) 3월이면 봄마중 꽃 사랑이다. 봄마중 꽃 중에서 동백꽃의 은은함과 깊이에 절로 그리워지는 섬이 있다. 거제 지심도이다.  남녁에서 불어오는 살랑 바람 꽃 향이 코 끝을 스치울 즈음 겨우네 웅크렸던 마음을 활짝펴고 아름다운 옛 추억 따라 지심도로 향한다. 거제 지심도는 동백숲이 가장 울창하게 원시림 그대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섬이다.  바닷 바람을 좋아해서 일까? 동백은 남해안 일대 완도를 비롯한 여수, 진도, 남해도 등 겨울 바람을 이겨내고 아름답게 피어난다.이 시기는 동백의 진한 붉은 꽃잎 사랑을 맘껏 느낄 수 있는 시기이다. 찬란히 빛나는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동백 꽃잎 사이로 살포시 내미는 붉은 입술에 입맞춤하고픈 짜릿한 순간이.. 2025. 3. 17.
2025.03.02. 천안 태화산 광덕사 탐방 ◎ 천안 광덕사천안 광덕사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산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 소속이다.광덕사는 652년에 자장율사가 부처님 사리, 치아, 가사, 화엄경 등을 봉안하시어,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광덕사 사적기 등을 볼 때 통일신라 흥덕왕(興德王) 7년(832) 승려 진산(珍山)화상을 거쳐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걸쳐 수 많은 중창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보물로 지정된 고려 사경(寫經), 조선 사경, 감역교지(減役敎旨), 노사나불괘불탱(盧舍那佛掛佛幀)이 남아 있다. ◎ 광덕사 들머리에서 광덕 9경중 1경이 광덕사와 느티나무 그리고 호도나무이다. 라고 광덕면 주민자치회에서 안내하고 있다. 광덕사는 신라 때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한다. 국가 지정 문화재로 보물 9점, 천.. 2025. 3. 5.
2025.03.02. 금북정맥 - 천안 광덕산 산행 1. 일자 : 2025.03.02.(일)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3. 산행 구간 : 금북정맥(각흘고개 - 480봉) - 복실고개 - 서귀봉 - 광덕산 - 광덕사 - 광덕쉼터 : 11.3km  2006년 2월 11일에 금북정맥을 걸을 때 이곳을 지나 갔다. 차동고개에서 곡두고개까지 길이다. 각흘고개를 지나서 480봉까지 산길이 금북정맥 길이다. 그 때도 특별한 특징이 없는 정맥길이여서 특별한 기억은 없다. 오늘도 금북정맥을 걷다가 480봉 헬기장에서 금북정맥과 헤어지고 광덕산 정상을 향한 산줄기를 따라 복실고개와 서귀봉을 지나 광덕산 정상으로 향한다.   오늘은 날씨가 참 도와주지 않는다. 아침부터 흐린 날씨는 종일 안개가 자욱하고 풍광은 일도 없이 완전 곰탕이다. 곰탕도 진한 곰탕이다. 주변 풍광이 기.. 2025. 3. 4.
2025.03.01. 변산 쇠뿔봉 청림마을에서 바라 본 쇠뿔봉 청림마을 초입  국립공원 탐방로 안내 오늘 코스 : 청림마을 - 청림갈림길 - 쇠뿔바위 - 청림마을 청림갈림길  전망대에서 청림마을 방향 변산 반도 산군 지장봉을 향하면서 지장봉 전만대에서 쇠뿔봉 지장봉 앞에서 쇠뿔봉 한 폭의 진경산수화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을 오르면서 지장봉을 오르면서 지장봉 앞에서 쇠뿔봉을 바라보면서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 지장봉 지장봉 지장봉과 부안호 방향 풍광 쇠뿔봉 바로 아래 쇠뿔봉 오르는 죽음의 계단 쇠뿔바위 이정표 쇠뿔바위 이정표  쇠뿔봉에서 바라 본 풍광 쇠뿔봉에서 바라 본 고래바위 쇠뿔봉에서 대원님들 쇠뿔봉 인증 쇠뿔바위 사진 삼매경 쇠뿔바위 사진 삼매경 쇠뿔바위 사진 삼매경 쇠뿔봉에서 바라 본 고래바위 고래바위 넘어.. 2025. 3. 4.
2025.03.01. 변산 바람꽃 - 청림마을 ◎ 변산 청림마을 변산바람꽃 2025. 3. 4.
2025.02.23. 지리산 둘레길 20코스(방광 - 오미) 탐방 1. 일자 : 2025.02.23.(일)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회장 김명수)3. 산행구간 : 지리산둘레길 20코스 : 방광마을 - 수한마을(1.4km) - 지리산탐방지원센터/화엄사음식특화거리(3.2km) - 상사마을(5km) - 오미리/운조루주차장(2.7km)  : 12.3km   ◎ 지리산둘레길  ◎ 지리산둘레길 20코스를 걸으며 지리산 둘레길 20코스는 오미에서 지리산 자락을 끼고 방광까지 걷는 길이다. 오늘은 방광에서 오미마을까지 역방향으로 걷는다. 날씨는 맑다. 오늘 둘레길은 파란 하늘이 더욱 매력적일 것 같다. 이 구간은 구례읍을 바라보면서 노고단에서 흘러내린 지리산 자락을 끼고 걷는 구간이다.  백두산에서 백두대간을 타고 한반도를 흘러온 기운이 지리산 노고단에서 90도 껵여 천왕봉으로 .. 2025. 2. 24.
2025.02.22. 광주 무등산 얼음바위 코스 : 증심사주차장 - 노무현길 - 중머리재 - 장불재 - 얼음바위 - 늦재 - 바람재 - 토끼등 - 증심사 주차장 2025. 2. 24.
2025.02.16. 화순 옹성산 시산제 산행 ◎ 화순 옹성산에서 원산우회에서 매년 년초에 시산제를 행한다. 올해도 산행길의 안전과 무사고를 기원하는 시산제를 올린다. 화순 옹성산에 대하여서는 여러번 정리하였기 때문에 이번에는 사진만 올린다. 혹시 화순 옹성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아래 블로그 주소를 누러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어 가길 바란다. 2025.01.11. 화순 옹성산(572m) 산행 2025.01.11. 화순 옹성산(572m) 산행1. 일자 : 2025.01.11.(토)2. 누구랑 : 광주공고 산악회3. 산행 구간 : 옹성산주차장 - 옹성산2주차장 - 옹암 삼거리 - 쌍문바위 - 백련암터 - 출렁다리 - 옹성산 정상(572m) - 옹성산성 - 쌍두봉이정표 -lyj1749.tistory.com 2024.02.18. 전남 화순 옹성산 .. 2025. 2. 17.
2025.02.09. 남해바래길 섬바래길 3코스 노도바래길 탐방 ◎ 남해바래길 섬바래길(조도, 호도, 노도) 남해바래길은 본선16코스와 지선 4개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 후로 최근에 남해도 주변 아름다운 유인도 섬 3곳(조도, 호도, 노도)에 바래길을 만들었다. 섬바래길이라고 한다. 섬1 : 조도바래길, 섬2 : 호도바래길, 섬3 : 노도바래길이다. 미조면 안내도   ◇  하루 3개 섬바래길 모두 탐방을 위한 뱃시간과 순서07:50 - 08:00 : 미조항 - 호도08:00 - 08:40 : 호도바래길08:40 - 08:50 : 호도 - 조도08:50 - 12:10 : 조도바래길12:10 - 12:20 : 조도 -미조항12:40 - 13:30 : 미조항 점심13:50 - 14:10 : 미조항 - 백련항14:30 - 14:40 : 백련항 - 노도14:40 - 17:0.. 2025. 2. 11.
2025.02.09. 남해바래길 섬바래길 1코스 조도바래길 탐방 ◎ 남해바래길 섬바래길(조도, 호도, 노도)남해바래길은 본선16코스와 지선 4개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 후로 최근에 남해도 주변 아름다운 유인도 섬 3곳(조도, 호도, 노도)에 바래길을 만들었다. 섬바래길이라고 한다. 섬1 : 조도바래길, 섬2 : 호도바래길, 섬3 : 노도바래길이다. 미조면 안내도   ◇ 하루 3개 섬바래길 모두 탐방을 위한 뱃시간과 순서07:50 - 08:00 : 미조항 - 호도08:00 - 08:40 : 호도바래길08:40 - 08:50 : 호도 - 조도08:50 - 12:10 : 조도바래길12:10 - 12:20 : 조도 -미조항12:40 - 13:30 : 미조항 점심13:50 - 14:10 : 미조항 - 백련항14:30 - 14:40 : 백련항 - 노도14:40 - 17:00 .. 2025. 2. 11.
2025.02.09. 남해바래길 섬바래길 2코스 호도바래길 탐방 ◎ 남해바래길 섬바래길(조도, 호도, 노도)남해바래길은 본선16코스와 지선 4개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 후로 최근에 남해도 주변 아름다운 유인도 섬 3곳(조도, 호도, 노도)에 바래길을 만들었다. 섬바래길이라고 한다. 섬1 : 조도바래길, 섬2 : 호도바래길, 섬3 : 노도바래길이다. 미조면 안내도   ◇ 하루 3개 섬바래길 모두 탐방을 위한 뱃시간과 순서07:50 - 08:00 : 미조항 - 호도08:00 - 08:40 : 호도바래길08:40 - 08:50 : 호도 - 조도08:50 - 12:10 : 조도바래길12:10 - 12:20 : 조도 -미조항12:40 - 13:30 : 미조항 점심13:50 - 14:10 : 미조항 - 백련항14:30 - 14:40 : 백련항 - 노도14:40 - 17:00 .. 2025. 2. 11.
2025.02.08. 보성 천봉산 대원사 탐방 ◎ 천봉산 대원사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길 506-8)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제21교구 본사(本寺)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末寺)이다. 천봉사 대원사는 백제 무령왕3년(503년) 아도화상에 의해 창건된 백제고찰이다.통일산라 시대에는 5교 9산 중 하나인 열반종의 8대가람으로 교세를 크게 떨쳤다.고려시대에는 조계산 송광사의 16국사 중 제5대 자진원오 국사가 강화도 선원사에서 팔만대장경 판각불사를 마치고 대원사로 와서, 선원과 승방을 크게 중창하고 선문염송을 판각하여 수행교재로 하였다.조선 영조35년(1759년) 현정선사가 다시 중창하여, 12암자를 가진 대가람의 면모를 지켜왔다. 현재 문화재로 지정한 극락전과 지장보살도 등은 그 당시에 조성된 것이다. 해방 후 민족의 비극인 여순사건(19.. 2025. 2. 10.
2025.02.02. 남해바래길 16코스 대국산성길(설천면행정복지센터 - 남해공용터미널) 16.3km ◎ 엄마의 길, 남해바래길 251km(본선 16개 코스, 지선 4개 코스) 남해는 500년 전부터 '꽃밭(花田)'이란 별칭으로 불렸던 아름다운 보물섬으로 산과 바다, 다랭이논, 죽방렴, 그리고 순박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섬이다. 남해바래길은 남해가 가진 천혜의 자연환경과 사람들을 두 발로 걸어서 완벽하게 만날 수 있는 걷기여행길이다. 개통 10주년을 맞아 2020년 새롭게 리모델링 된 '남해바래길2.0'은 총 251km로 본선 16개 코스와 지선 4개 코스로 구성되었다. 지선 코스는 코스별로 원점회귀가 가능한 단거리 순환형 걷기여행길로 자가용 이용이 편하게 구성되었다. '바래'라는 말은 남해 어머니들이 가족의 먹거리 마련을 위해 바닷물이 빠지는 물때에 맞춰 갯벌에 나가 파래나 조개, 미역, 고동 등 해산.. 2025. 2. 3.
2025.01.19. 보은 속리산 (장각폭포 - 상오리7층석탑 - 속리산 천왕봉 - 상고암 - 법주사) 산행 1. 일자 : 2025.01.19.(일)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3. 산행 구간 : 상오리-장각폭포-상오리7층석탑-천왕봉헬기장-천왕봉-천왕봉갈림길-상고암- 법주사 - 법주사주차장   ◎ 속리산(1,058m) 속리산은 충청 북도 보은군과 경상 북도 상주시의 경계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해발 1,058m인 천왕봉을 중심으로 관음봉 · 비로봉 · 경업대 · 문장대 · 입석대 등 해발 1,000m 내외의 산봉우리를 거느린 우리나라 5대 명산 중 하나이다.  그 중 문장대는 속리산의 빼어난 경치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경승지로,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속리산에는 법주사가 있다. 이 절은 신라 진흥왕 때인 553년에 의신 조사가 지었다. 임진왜란 때 불타 버린 것을 인조 때인 1624년에 옛 모양을 .. 2025. 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