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21

2025.03.29. 장성 백양사 고불매 ◎ 2025. 백양사 고불매 축제. 선, 매, 향.   ◎ 백양사 고불매  ◎ 백암산 고불총림백양사 일주문  ◎ 백양사 쌍계루  ◎ 고불총림백양사 현판  ◎ 3월 말 싸래기눈발이 휘날리는 백암산 전경 2025. 3. 31.
2025.03.23. 남파랑길 완도 88코스(완도 화흥초교 - 상왕봉 - 완도수목원 - 남파랑길 쉼터 - 원동리) 15.3km ◎ 남파랑길이란? 부산 - 해남 최장걷기여행길 총 90개 코스로 이루어진 1,470km의 걷기여행길 남쪽의 쪽빛 바다와 함께 걷는 길남해의 수려한 해안 경관과 대도시의 화려함 그리고농산어촌마을의 소박함을 체험하는 길이다. 남파랑길은 ‘남쪽(南)의 쪽빛(藍) 바다와 함께 걷는 길’이라는 뜻으로, 부산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전남 해남 땅끝마을까지 남해안을 따라 총 90개 코스로 이루어진 1,470km의 걷기여행길이다. 남파랑길을 걷다보면 남해의 수려한 해안경관과 대도시의 화려함, 농산어촌마을의 소박함을 모두 만날 수 있다. ◎ 남파랑길 완도 88코스 트레킹구간 : 완도 화흥초교 - 상왕봉 - 완도수목원 - 남파랑길쉼터 - 원동리 15.3km    남파랑길 완도 88코스는 완도 상왕봉을 지나는 길이여서 트레킹.. 2025. 3. 24.
2025.03.16. 경남 거제 지심도 동백섬 봄마중 ◎ 3월 봄마중 지심도 동백섬을 향하면서 (광주원산우회와 함께) 3월이면 봄마중 꽃 사랑이다. 봄마중 꽃 중에서 동백꽃의 은은함과 깊이에 절로 그리워지는 섬이 있다. 거제 지심도이다.  남녁에서 불어오는 살랑 바람 꽃 향이 코 끝을 스치울 즈음 겨우네 웅크렸던 마음을 활짝펴고 아름다운 옛 추억 따라 지심도로 향한다. 거제 지심도는 동백숲이 가장 울창하게 원시림 그대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섬이다.  바닷 바람을 좋아해서 일까? 동백은 남해안 일대 완도를 비롯한 여수, 진도, 남해도 등 겨울 바람을 이겨내고 아름답게 피어난다.이 시기는 동백의 진한 붉은 꽃잎 사랑을 맘껏 느낄 수 있는 시기이다. 찬란히 빛나는 아침 햇살에 반짝이는 동백 꽃잎 사이로 살포시 내미는 붉은 입술에 입맞춤하고픈 짜릿한 순간이.. 2025. 3. 17.
2025.03.02. 천안 태화산 광덕사 탐방 ◎ 천안 광덕사천안 광덕사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산에 위치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 소속이다.광덕사는 652년에 자장율사가 부처님 사리, 치아, 가사, 화엄경 등을 봉안하시어,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또한, 광덕사 사적기 등을 볼 때 통일신라 흥덕왕(興德王) 7년(832) 승려 진산(珍山)화상을 거쳐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걸쳐 수 많은 중창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보물로 지정된 고려 사경(寫經), 조선 사경, 감역교지(減役敎旨), 노사나불괘불탱(盧舍那佛掛佛幀)이 남아 있다. ◎ 광덕사 들머리에서 광덕 9경중 1경이 광덕사와 느티나무 그리고 호도나무이다. 라고 광덕면 주민자치회에서 안내하고 있다. 광덕사는 신라 때 자장율사가 세웠다고 한다. 국가 지정 문화재로 보물 9점, 천.. 2025. 3. 5.
2025.03.02. 금북정맥 - 천안 광덕산 산행 1. 일자 : 2025.03.02.(일)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3. 산행 구간 : 금북정맥(각흘고개 - 480봉) - 복실고개 - 서귀봉 - 광덕산 - 광덕사 - 광덕쉼터 : 11.3km  2006년 2월 11일에 금북정맥을 걸을 때 이곳을 지나 갔다. 차동고개에서 곡두고개까지 길이다. 각흘고개를 지나서 480봉까지 산길이 금북정맥 길이다. 그 때도 특별한 특징이 없는 정맥길이여서 특별한 기억은 없다. 오늘도 금북정맥을 걷다가 480봉 헬기장에서 금북정맥과 헤어지고 광덕산 정상을 향한 산줄기를 따라 복실고개와 서귀봉을 지나 광덕산 정상으로 향한다.   오늘은 날씨가 참 도와주지 않는다. 아침부터 흐린 날씨는 종일 안개가 자욱하고 풍광은 일도 없이 완전 곰탕이다. 곰탕도 진한 곰탕이다. 주변 풍광이 기.. 2025. 3. 4.
2025.03.01. 변산 쇠뿔봉 청림마을에서 바라 본 쇠뿔봉 청림마을 초입  국립공원 탐방로 안내 오늘 코스 : 청림마을 - 청림갈림길 - 쇠뿔바위 - 청림마을 청림갈림길  전망대에서 청림마을 방향 변산 반도 산군 지장봉을 향하면서 지장봉 전만대에서 쇠뿔봉 지장봉 앞에서 쇠뿔봉 한 폭의 진경산수화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을 오르면서 지장봉을 오르면서 지장봉 앞에서 쇠뿔봉을 바라보면서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 앞에서 지장봉 지장봉 지장봉 지장봉과 부안호 방향 풍광 쇠뿔봉 바로 아래 쇠뿔봉 오르는 죽음의 계단 쇠뿔바위 이정표 쇠뿔바위 이정표  쇠뿔봉에서 바라 본 풍광 쇠뿔봉에서 바라 본 고래바위 쇠뿔봉에서 대원님들 쇠뿔봉 인증 쇠뿔바위 사진 삼매경 쇠뿔바위 사진 삼매경 쇠뿔바위 사진 삼매경 쇠뿔봉에서 바라 본 고래바위 고래바위 넘어.. 2025. 3. 4.
2025.03.01. 변산 바람꽃 - 청림마을 ◎ 변산 청림마을 변산바람꽃 2025. 3. 4.
2025.02.23. 지리산 둘레길 20코스(방광 - 오미) 탐방 1. 일자 : 2025.02.23.(일)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회장 김명수)3. 산행구간 : 지리산둘레길 20코스 : 방광마을 - 수한마을(1.4km) - 지리산탐방지원센터/화엄사음식특화거리(3.2km) - 상사마을(5km) - 오미리/운조루주차장(2.7km)  : 12.3km   ◎ 지리산둘레길  ◎ 지리산둘레길 20코스를 걸으며 지리산 둘레길 20코스는 오미에서 지리산 자락을 끼고 방광까지 걷는 길이다. 오늘은 방광에서 오미마을까지 역방향으로 걷는다. 날씨는 맑다. 오늘 둘레길은 파란 하늘이 더욱 매력적일 것 같다. 이 구간은 구례읍을 바라보면서 노고단에서 흘러내린 지리산 자락을 끼고 걷는 구간이다.  백두산에서 백두대간을 타고 한반도를 흘러온 기운이 지리산 노고단에서 90도 껵여 천왕봉으로 .. 2025. 2. 24.
2025.02.22. 광주 무등산 얼음바위 코스 : 증심사주차장 - 노무현길 - 중머리재 - 장불재 - 얼음바위 - 늦재 - 바람재 - 토끼등 - 증심사 주차장 2025. 2. 24.
2025.02.16. 화순 옹성산 시산제 산행 ◎ 화순 옹성산에서 원산우회에서 매년 년초에 시산제를 행한다. 올해도 산행길의 안전과 무사고를 기원하는 시산제를 올린다. 화순 옹성산에 대하여서는 여러번 정리하였기 때문에 이번에는 사진만 올린다. 혹시 화순 옹성산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사람은 아래 블로그 주소를 누러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어 가길 바란다. 2025.01.11. 화순 옹성산(572m) 산행 2025.01.11. 화순 옹성산(572m) 산행1. 일자 : 2025.01.11.(토)2. 누구랑 : 광주공고 산악회3. 산행 구간 : 옹성산주차장 - 옹성산2주차장 - 옹암 삼거리 - 쌍문바위 - 백련암터 - 출렁다리 - 옹성산 정상(572m) - 옹성산성 - 쌍두봉이정표 -lyj1749.tistory.com 2024.02.18. 전남 화순 옹성산 .. 2025. 2. 17.
2025.02.09. 남해바래길 섬바래길 3코스 노도바래길 탐방 ◎ 남해바래길 섬바래길(조도, 호도, 노도) 남해바래길은 본선16코스와 지선 4개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 후로 최근에 남해도 주변 아름다운 유인도 섬 3곳(조도, 호도, 노도)에 바래길을 만들었다. 섬바래길이라고 한다. 섬1 : 조도바래길, 섬2 : 호도바래길, 섬3 : 노도바래길이다. 미조면 안내도 ◇ 하루 3개 섬바래길 모두 탐방을 위한 뱃시간과 순서07:50 - 08:00 : 미조항 - 호도08:00 - 08:40 : 호도바래길08:40 - 08:50 : 호도 - 조도08:50 - 12:10 : 조도바래길12:10 - 12:20 : 조도 -미조항12:40 - 13:30 : 미조항 점심13:50 - 14:10 : 미조항 - 백련항14:30 - 14:40 : 백련항 - 노도14:40 - 17:0.. 2025. 2. 11.
2025.02.09. 남해바래길 섬바래길 1코스 조도바래길 탐방 ◎ 남해바래길 섬바래길(조도, 호도, 노도)남해바래길은 본선16코스와 지선 4개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 후로 최근에 남해도 주변 아름다운 유인도 섬 3곳(조도, 호도, 노도)에 바래길을 만들었다. 섬바래길이라고 한다. 섬1 : 조도바래길, 섬2 : 호도바래길, 섬3 : 노도바래길이다. 미조면 안내도 ◇ 하루 3개 섬바래길 모두 탐방을 위한 뱃시간과 순서07:50 - 08:00 : 미조항 - 호도08:00 - 08:40 : 호도바래길08:40 - 08:50 : 호도 - 조도08:50 - 12:10 : 조도바래길12:10 - 12:20 : 조도 -미조항12:40 - 13:30 : 미조항 점심13:50 - 14:10 : 미조항 - 백련항14:30 - 14:40 : 백련항 - 노도14:40 - 17:00 .. 2025. 2. 11.
2025.02.09. 남해바래길 섬바래길 2코스 호도바래길 탐방 ◎ 남해바래길 섬바래길(조도, 호도, 노도)남해바래길은 본선16코스와 지선 4개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그 후로 최근에 남해도 주변 아름다운 유인도 섬 3곳(조도, 호도, 노도)에 바래길을 만들었다. 섬바래길이라고 한다. 섬1 : 조도바래길, 섬2 : 호도바래길, 섬3 : 노도바래길이다. 미조면 안내도 ◇ 하루 3개 섬바래길 모두 탐방을 위한 뱃시간과 순서07:50 - 08:00 : 미조항 - 호도08:00 - 08:40 : 호도바래길08:40 - 08:50 : 호도 - 조도08:50 - 12:10 : 조도바래길12:10 - 12:20 : 조도 -미조항12:40 - 13:30 : 미조항 점심13:50 - 14:10 : 미조항 - 백련항14:30 - 14:40 : 백련항 - 노도14:40 - 17:00 .. 2025. 2. 11.
2025.02.08. 보성 천봉산 대원사 탐방 ◎ 천봉산 대원사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죽산길 506-8)대한불교조계종(大韓佛敎曹溪宗) 제21교구 본사(本寺)인 송광사(松廣寺)의 말사(末寺)이다. 천봉사 대원사는 백제 무령왕3년(503년) 아도화상에 의해 창건된 백제고찰이다.통일산라 시대에는 5교 9산 중 하나인 열반종의 8대가람으로 교세를 크게 떨쳤다.고려시대에는 조계산 송광사의 16국사 중 제5대 자진원오 국사가 강화도 선원사에서 팔만대장경 판각불사를 마치고 대원사로 와서, 선원과 승방을 크게 중창하고 선문염송을 판각하여 수행교재로 하였다.조선 영조35년(1759년) 현정선사가 다시 중창하여, 12암자를 가진 대가람의 면모를 지켜왔다. 현재 문화재로 지정한 극락전과 지장보살도 등은 그 당시에 조성된 것이다. 해방 후 민족의 비극인 여순사건(19.. 2025. 2. 10.
2025.02.02. 남해바래길 16코스 대국산성길(설천면행정복지센터 - 남해공용터미널) 16.3km ◎ 엄마의 길, 남해바래길 251km(본선 16개 코스, 지선 4개 코스) 남해는 500년 전부터 '꽃밭(花田)'이란 별칭으로 불렸던 아름다운 보물섬으로 산과 바다, 다랭이논, 죽방렴, 그리고 순박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섬이다. 남해바래길은 남해가 가진 천혜의 자연환경과 사람들을 두 발로 걸어서 완벽하게 만날 수 있는 걷기여행길이다. 개통 10주년을 맞아 2020년 새롭게 리모델링 된 '남해바래길2.0'은 총 251km로 본선 16개 코스와 지선 4개 코스로 구성되었다. 지선 코스는 코스별로 원점회귀가 가능한 단거리 순환형 걷기여행길로 자가용 이용이 편하게 구성되었다. '바래'라는 말은 남해 어머니들이 가족의 먹거리 마련을 위해 바닷물이 빠지는 물때에 맞춰 갯벌에 나가 파래나 조개, 미역, 고동 등 해산.. 2025. 2. 3.
2025.01.19. 보은 속리산 (장각폭포 - 상오리7층석탑 - 속리산 천왕봉 - 상고암 - 법주사) 산행 1. 일자 : 2025.01.19.(일)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3. 산행 구간 : 상오리-장각폭포-상오리7층석탑-천왕봉헬기장-천왕봉-천왕봉갈림길-상고암- 법주사 - 법주사주차장   ◎ 속리산(1,058m) 속리산은 충청 북도 보은군과 경상 북도 상주시의 경계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해발 1,058m인 천왕봉을 중심으로 관음봉 · 비로봉 · 경업대 · 문장대 · 입석대 등 해발 1,000m 내외의 산봉우리를 거느린 우리나라 5대 명산 중 하나이다.  그 중 문장대는 속리산의 빼어난 경치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경승지로,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속리산에는 법주사가 있다. 이 절은 신라 진흥왕 때인 553년에 의신 조사가 지었다. 임진왜란 때 불타 버린 것을 인조 때인 1624년에 옛 모양을 .. 2025. 1. 21.
2025.01.12. 남해바래길 11코스 다랭이지겟길 (남파랑길 43코스) : 작은미술관 - 다랭이마을 : 역방향 13.5km 트레킹 ◎ 엄마의 길, 남해바래길 251km(본선 16개 코스, 지선 4개 코스) 남해는 500년 전부터 '꽃밭(花田)'이란 별칭으로 불렸던 아름다운 보물섬으로 산과 바다, 다랭이논, 죽방렴, 그리고 순박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섬이다. 남해바래길은 남해가 가진 천혜의 자연환경과 사람들을 두 발로 걸어서 완벽하게 만날 수 있는 걷기여행길이다. 개통 10주년을 맞아 2020년 새롭게 리모델링 된 '남해바래길2.0'은 총 251km로 본선 16개 코스와 지선 4개 코스로 구성되었다. 지선 코스는 코스별로 원점회귀가 가능한 단거리 순환형 걷기여행길로 자가용 이용이 편하게 구성되었다. '바래'라는 말은 남해 어머니들이 가족의 먹거리 마련을 위해 바닷물이 빠지는 물때에 맞춰 갯벌에 나가 파래나 조개, 미역, 고동 등 해산.. 2025. 1. 13.
2025.01.11. 화순 옹성산(572m) 산행 1. 일자 : 2025.01.11.(토)2. 누구랑 : 광주공고 산악회3. 산행 구간 : 옹성산주차장 - 옹성산2주차장 - 옹암 삼거리 - 쌍문바위 - 백련암터 - 출렁다리 - 옹성산 정상(572m) - 옹성산성 - 쌍두봉이정표 - 독재 - 옹성산2주차장 - 옹성산주차장(원점회귀) 오늘 걷는 방향은 개념도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정반대 방향이다 ◎ 화순 옹성산(572m) 화순군 동복면 안성리, 북면 다곡리, 이서면 장학리에 위치한다. 항아리를 엎어놓은 것 같은 바위봉우리가 여러 개 있어 옹성산이라 부른다. 빨치산 도당 사령부가 있던 백아산 능선에서 뻗었지만, 그 산세는 전혀 다르다. 웅성산은 모래와 자갈이 오랜 세월 퇴적작용을 거치면서 형성된 퇴적암이 솟아오른 것처럼 보인다. 바위 질은 단단하지 않지만 .. 2025. 1. 13.
2025.01.05. 지리산 천왕봉 눈꽃 산행 1. 일자 : 2025.01.05.(일)2. 누구랑 : 광주원산우회3. 산행 구간 : 중산리탐방안내소 - 칼바위 - 법계사 - 개선문 - 천왕봉 - 통천문 - 제석봉 - 장터목 대피소 - 소지봉 - 참샘 - 하동바위 - 백무동탐방안내소(12.9km)  ◎ 지리산 천왕봉(1,915m) 국립공원 제1호로 지정된 지리산은 한국 8경의 하나이고 5대 명산 중 하나로, 웅장하고 경치가 뛰어나다. 그 범위가 3도 5개 군 15개 면에 걸쳐 있으며 4백 84㎢ (1억3천만평)로 광대하게 펼쳐져 있다.  남한 제2의 고봉 천왕봉(1,915m), 노고단(1,507m)으로 이어지는 1백리 능선에 주능선에 만도 반야봉(1,751m), 토끼봉 등 고산 준봉이 10여개나 있으며, 85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들이 있다. 정상에서 .. 2025. 1. 7.
2025.01.01. 경기 연천역 - 신탄리역 - 철원 백마고지역 평화의 길 트레킹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와 가족을 잃은 유가족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 계획 없이 혼자 떠나는 여행 버스에서 바라 본 한탄강 2025년 새해가 밝았다. 오랫만에 서울에 있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의 명복을 빌고 그 유족분들께 심심한 위로의 마음을 전하면서 매년 올랐던 산행을 취소하고 올해는 서울에서 새해를 맞는다. 어디를 갈까? 아무 계획이 없다. 계획이 없는 것이 계획이다. 지하철1호선을 타고 끝까지 가보자. 느긋하게 시간을 보내자. 한강을 건넌다. 이미 해는 중천이다. 언제나 처럼 특별하지도 않는데 사람들과 나는 새해 일출을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왔다. 버스에서 바라 본 한탄강 용산역 우동집에서 평소 1만원짜리 우동을 먹다가 새우튀김과 새알이 들어가는 1만.. 2025. 1. 2.
1024.12.26. 광주 무등산 눈꽃 산행 ◎ 산행경로 : 증심사 - 증심교 - 바람재 - 동화사터 - 중봉 - 목교 - 서석대 - 목교 - 얼음바위 - 늦재전망대 - 바람재 - 증심사  ◎ 증심사 - 바람재  ◎ 바람재 - 동화사터  ◎ 동화사터 - 중봉  ◎ 중봉 - 목교 - 서석대  ◎ 서석대 -  인왕봉 - 서석대    ◎ 서석대 -  목교 - 얼음바위    ◎ 얼음바위 -  늦재전망대 - 바람재 - 증심사 2024. 12. 30.
202412.25. 서울 관악산 산행 (학바위 능선 - 우두봉 - 모정의 바위 - 도림천 계곡 - 관악산 정상 - 연주대 - 연주암 - 자하동천계곡 - 과천향교) ◎ 관악산 속살을 만나러 가면서 2024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 성탄절 날 서울 관악산을 오르기로 한다. 관악산은 산행길이 많다. 서울에 사는 관악산 전문가를 따라 관악산 속살을 만나러 간다. 관악산은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오랜 세월동안 깍이고 풍화되어 만들어진 기암들이 많다. 오늘은 학바위 능선을 오른다. 학바위 능선에도 기암들이 즐비하다. 함께한 한민수 산행대장님과 그의 지인분들이 산행의 대가이며 베터랑이여서 산행의 여우를 즐길 줄 아는 분들이다. 이런분들과 함께 한 오늘 산행은 참 행복하고 즐겁고 재미있었다. 담고 싶은 기암들을 충분히 담고 천천히 진행한 산행이 너무 좋았다. 함께한 분들께 감사한다. 산행 내내 지난번에 내린 습설로 소나무가 두 동강이 나고 안타깝게 쓰러져 있는 모습을 보니 안스.. 2024. 12. 26.
2024.12.22. 구례 오산 사성암 탐방 ◎ 구례 오산 사성암(명승 제111호) 구례 오산은 경관이 빼어나 봉성지(구례 향교 발간, 1800년)에 '그 바위의 형상이 빼어나 금강산 같으며, 예부터 부르기를 소금강이라고 하였다.' 고 기록되어 있다. 사성암은 오산 정상 부근의 깍아지른 암벽을 활용하여 지은 사찰인데 서기 544년에 연기 조사가 세웠다. 원래는 오산사라고 부르다가 의상, 원효, 도선, 진각 국사 등 4명의 고승이 수도하여 사성암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암자 주변에는 우뚝 솟은 기암괴석이 있는데 그 중에서 풍월대, 신선대, 소원바위 등 12비경이 빼어나 명승 제111호로 지정하였다. 또한 오산 사성암은 섬진강과 주변 평야, 구례읍과 7개 면과 지리산 연봉들을 한 곳에서 모두 볼 수 있는 곳이며, 오산 정상 풍경과 사찰 건물, 그.. 2024. 12. 24.
2024.12.22. 지리산둘레길 13코스 2차 탐방 1. 일자 : 2024.12.22.(일)2023.01.29.(일)2. 누구랑 : 광주지오트레킹3. 산행 구간  : 서당마을 - 하동읍(하동지선)  ◎ 서당마을 - 하동 13구간 지리산둘레길 13코스는 작년 이맘 때(2023.01.29.일)에 1차 탐방을 했다. 이번이 2번째 탐방길이다. 그 때는 주로 이정목 중심으로 탐방기를 정리하였는데 이번에는 풍광을 중심으로 탐방기를 정리하고자 한다. 한번 걸었던 길이라 왠지 쉬어 보인다.  알고 있는 길을 가는 것이 이리도 쉽다는 것을 이제 알아간다. 인생도 비슷하다. 비슷한 일을 경험하고 비슷한 일이 생기면 해결을 쉽게 잘 해간다.   날씨는 청명하고 바람은 신선하다. 온 산하는 겨울을 준비하고 깊은 동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바람재에서 인증 지난 한 철 울창했던.. 2024.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