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경표 이야기6

1대간 1정간 13정맥 산경도 1대간 1정간 13정맥 산경도 2020. 7. 23.
우리나라 남쪽 1대간 9정맥 산경도 우리나라 남쪽 1대간 9정맥 산경도 2020. 7. 22.
18세기 최고의 지리학자 여암 신경준 이야기 18세기 최고의 지리학자 여암(如菴) 신경준 이야기 (순창군 공식 블로그에서 전ㅇ메라 순창군 블로그 기자단님의 글을 발취) 신경준(1712년~1781년)은 조선 후기 영, 정조 때의 문관이자 지리학자입니다. 그의 호는 여암으로 순창의 귀래정 신말주 후손의 세거지에서 태어났는데요. 여암은 신말주의 10대 손인 아버지 신래와 한산 이 씨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납니다. 그는 태어난 지 아홉 달 만에 글자를 알아보았고, 네 살에 천자문, 다섯 살에는 시경을 읽었다는 천재였다고 합니다. 그는 어려서 상경(上京) 후, 강화도에서도 공부를 했으며, 12살 때 다시 순창으로 돌아와 아버지 아래 글을 배우고 시를 지으며 청년기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26세 때인 1737년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그 이듬해 가족들과 경기도 .. 2020. 7. 16.
산경표의 새로운 해석(부산맨) 만신창이로 변해버린 산경표(山經表) 새롭게 부생(復生)한다. 산꾼 이재수의 글(블로그 금정산 산돌이 http://blog.daum.net/busanman 에서 퍼옴) 부산에서 대중교통편을 이용하여 호남정맥(湖南正脈)을 종주하려면 큰 걸림돌 두개가 있다. 첫 번째 방해물(妨害物)은 주말마다 계속되는 남해고속도로 체증(滯症)을 어떤 방법으로 해소(解消)하여야 할지 고민(苦悶)을 해보지만 평일산행(平日山行) 외에는 대책이 없다. 두 번째 장애물(障礙物)은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을 포함한다면 백두대간(白頭大幹) 종주(縱走)에 버금갈 정도의 체력(體力)을 필요로 하고 일부 구간(區間)은 잡목(雜木)을 헤쳐 나가야하는 어려움까지 숨어있다. 정맥산행(正脈山行)의 경우는 인공적인 환경침해(파괴:破壞)로 지형(地形).. 2020. 7. 16.
산경표란? 산경표 (고등교과서 한국지리 발취) 우리 조상들의 산줄기 인식, 산경표 우리 조상은 백두산에서 산줄기가 뻗어 나와 전 국토의 산줄기를 이루었다고 생각하였으며, 풍수지리에서도 백두산을 신성하게 여기고 백두산에서 시작한 생기가 각 지역으로 뻗어 나간다고 보았다. 이렇게 백두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을 조선 후기 실학자인 신경준이 표로 정리한 것이 산경표(山徑表)이며, 산경표를 지도화한 것이 산경도이다. 산경표는 산줄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백두산을 시작으로 하여 지리산까지 흐르는 산줄기를 백두대간이라 하고, 백두대간에서 1개의 정간(正幹)과 13개의 정맥(正脈)이 뻗어 나온다. 산경표에서는 산줄기가 *분수계를 이루어 하천과 하천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점에서 산경표의 산지 인식 체계.. 2020. 7. 15.
산에 왜 오르는가? 물줄기를 보러 오르네~ 어떤 우연한 사연으로 산을 찾게 되었다. 가까운 무등산을 오르면서 일상으로 찌든 스트레스를 자연의 품에서 치유 받는 기분은 새로운 경험이였다. 차츰 산이 좋아 오를 즘 1대간 1정간 13정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우리 산하가 산줄기와 물줄기로 구분되고 연결 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왕에 산을 오르면서 우리 산하를 의미 있게 걷고 싶어 호남정맥부터 시작하여 2004년부터 2008.06까지 4년 6개월 동안 한반도 남쪽 지역에 있는 1대간 9정맥 종주를 마무리하면서 드는 생각이 "산은 왜 오르는가?" "우리에게 있어 산은 어떤 의미를 주는가?" 이런 질문에 어렴풋이 나름 답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산은 왜 오르는가? 어떤이가 "산은 왜 오르는가?"라고 묻는다면 나는 자신있게 " 물줄기를 보.. 2020.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