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1

산경표의 새로운 해석(부산맨) 만신창이로 변해버린 산경표(山經表) 새롭게 부생(復生)한다. 산꾼 이재수의 글(블로그 금정산 산돌이 http://blog.daum.net/busanman 에서 퍼옴) 부산에서 대중교통편을 이용하여 호남정맥(湖南正脈)을 종주하려면 큰 걸림돌 두개가 있다. 첫 번째 방해물(妨害物)은 주말마다 계속되는 남해고속도로 체증(滯症)을 어떤 방법으로 해소(解消)하여야 할지 고민(苦悶)을 해보지만 평일산행(平日山行) 외에는 대책이 없다. 두 번째 장애물(障礙物)은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을 포함한다면 백두대간(白頭大幹) 종주(縱走)에 버금갈 정도의 체력(體力)을 필요로 하고 일부 구간(區間)은 잡목(雜木)을 헤쳐 나가야하는 어려움까지 숨어있다. 정맥산행(正脈山行)의 경우는 인공적인 환경침해(파괴:破壞)로 지형(地形).. 2020. 7. 16.
백두대간과 백두대간 산경표 백두대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발취) 백두대간(白頭大幹, 문화어: 백두대산줄기)은 백두산에서 뻗어 내린 겨레의 큰 줄기라는 의미를 뜻한다. 이름과 의미 백두대간(白頭大幹)은 한반도의 뼈대를 이루는 산줄기로, 황해와 동해를 거쳐 낙동강 수계의 분수령이 된다. 이 산줄기는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동쪽 해안산을 따라 남쪽 지리산까지 이어진다. 총길이가 1,625km이고 지리산에서 향로봉까지의 남한 구간만 해도 690km에 이른다. 각 지방을 구분 짓는 경계선은 삼국 시대에는 국경으로 조선 시대에는 행정 경계로 쓰였다. 그리고 각지의 언어와 풍습 등이 나누는 기준도 되었다. 백두대간은 한국의 풍속, 언어 등을 이해하는 주요 바탕이 된 것이다. 백두대간의 주요산과 고개 백두산(2,744)-두류산(2,3.. 2020. 7. 15.
산경표란? 산경표 (고등교과서 한국지리 발취) 우리 조상들의 산줄기 인식, 산경표 우리 조상은 백두산에서 산줄기가 뻗어 나와 전 국토의 산줄기를 이루었다고 생각하였으며, 풍수지리에서도 백두산을 신성하게 여기고 백두산에서 시작한 생기가 각 지역으로 뻗어 나간다고 보았다. 이렇게 백두산을 중심으로 산지가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을 조선 후기 실학자인 신경준이 표로 정리한 것이 산경표(山徑表)이며, 산경표를 지도화한 것이 산경도이다. 산경표는 산줄기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백두산을 시작으로 하여 지리산까지 흐르는 산줄기를 백두대간이라 하고, 백두대간에서 1개의 정간(正幹)과 13개의 정맥(正脈)이 뻗어 나온다. 산경표에서는 산줄기가 *분수계를 이루어 하천과 하천을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점에서 산경표의 산지 인식 체계.. 2020. 7. 15.
산에 왜 오르는가? 물줄기를 보러 오르네~ 어떤 우연한 사연으로 산을 찾게 되었다. 가까운 무등산을 오르면서 일상으로 찌든 스트레스를 자연의 품에서 치유 받는 기분은 새로운 경험이였다. 차츰 산이 좋아 오를 즘 1대간 1정간 13정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우리 산하가 산줄기와 물줄기로 구분되고 연결 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왕에 산을 오르면서 우리 산하를 의미 있게 걷고 싶어 호남정맥부터 시작하여 2004년부터 2008.06까지 4년 6개월 동안 한반도 남쪽 지역에 있는 1대간 9정맥 종주를 마무리하면서 드는 생각이 "산은 왜 오르는가?" "우리에게 있어 산은 어떤 의미를 주는가?" 이런 질문에 어렴풋이 나름 답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산은 왜 오르는가? 어떤이가 "산은 왜 오르는가?"라고 묻는다면 나는 자신있게 " 물줄기를 보.. 2020. 7. 15.
대동금남정맥 개념도 2020. 7. 13.
금남정맥 개념도(산과 사람) 2020. 7. 13.
금남정맥과 대동금남정맥 및 산경도 1. 금남정맥과 대동금남정맥이란? 금남 정맥은 금강 남쪽의 수계를 잇는 산줄기로 백두대간이 지나는 영취산에서 분기하여 서쪽으로 뻗어 내린 금남호남정맥이 조약봉(주화산 565m)으로 이어지다가 이곳에서 다시 남쪽으로 호남정맥, 북쪽으로 금남정맥이 분기된다. 금남정맥은 북으로 금강과 나란히 치달아 금강 남쪽의 수계를 이루면서 대둔산과 계룡산을 거친 후 서쪽으로 망월산을 지나 부소산 백마강 조룡대에서 끝난다. 금강의 남쪽과 서쪽으로 만경강의 분수령이 되어 자연히 군산과 논산을 중심으로 한 평야지방과 내륙지방을 양분하고 있다. 그러나 논산천이 부여 아래에서 금강으로 흐르고 군산까지의 남쪽 수계를 품지 못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신산경표에서는 싸리봉(금만봉)에서 분기하여 군산까지 논산천과 만경강을.. 2020. 7. 13.
2004.10.24. 금남정맥7차(만학골재-진고개) 산행 1. 언제 : 2004.10.24 2.함께 : 길벗 3. 산행구간 : 만학골재-팔재산(364)-널치고개-성향산(237)-구수리고개-망덕봉(210)-진고개(19.2km) 4. 산행구간 2020. 7. 9.
2004.08.22. 금남정맥6차(음절마을-만학골재) 산행 1. 언제 : 2004.08.22 2. 함께 : 단독 3. 산행구간 : 음절마을-계룡산-쌀계봉-관음봉-만학골재(15.8km) 4. 산행 추억 2020. 7. 9.
2004.07.11. 금남정맥5차(덕목재-음절마을) 산행 1. 언제 : 2004.07.11 2. 함께 : 길벗 3. 산행구간 : 덕목재-함박봉(404)-황령재-대목재-천호산(311)-천마산(287)-음절마을(13.3km) 4. 산행 추억 2020. 7. 9.
2004.07.11 금남정맥 4차(배티재-덕목재) 산행 1. 언제 : 2004.07.11 2. 함께 : 길벗 3. 산행구간 : 배티재-낙조대-대둔산(879)-무수재-월성봉-바랑산(555)-물한이재-덕목재(16km) 4. 산행 추억 2020. 7. 9.
2004.06.27 금남정맥3차(백령고개-배티고개) 산행 1. 언제 : 2004.06.27 2. 함께 : 길벗 3. 산행구간 : 백령고개(작고개)-622.7봉-인대산(666)-오항동고개-국기봉-배티재(13.1km) 4. 산행 추억 2020. 7. 9.
2004.06.13. 금남정맥2차(피암목재-백령고개) 장군봉-백령산-서암산 산행 1. 언제 : 2004.06.13 2. 함께 : 길벗 3. 마루금 : 피암목재-장군봉(742)-작은싸리재-성재봉(824)-신선봉(790)-백암산(육백고지, 654)-독수리봉(610)-백령고개(작고개) (18.7km) 4. 산행소감 금남정맥을 한지가 17년이 지났다. 서랍속에 오랫동안 뭍어둔 빛바랜 추억을 꺼내보며 가슴 뭉클하고 아련한 추억을 만난다. 새롭게 다가오는 금남정맥이다. 산행 초보 때 멋모르고 도전한 정맥길에서 힘들었던 기억과 함께한 산우님들이 나를 더욱 아련하게 한다. 그래도 그때가 그립다. 그리운 추억을 가슴에 모아 둘 수 있다는 것은 행복하다. 아련한 추억을 한장 한장 넘기며 여기 소중히 기록을 남긴다. 5. 산행 추억 2020. 7. 9.
2004.05.23 금남정맥 1차(모래재-피암목재) 연석산, 운장산(서봉) 산행 1. 일시 : 2004.05.23 2. 누구랑 : 길벗 3. 산행구간 : 모래재-조약봉(565)-입봉(637)-보룡고개-황새목재-연석산(925)-만항재-서봉(1123)-활목재-피암목재(14km) 4. 산행소감 금남정맥을 한지가 17년이 지났다. 서랍속에 오랫동안 뭍어둔 빛바랜 추억을 꺼내보며 가슴 뭉클하고 아련한 추억을 만난다. 새롭게 다가오는 금남정맥이다. 산행 초보 때 멋모르고 도전한 정맥길에서 힘들었던 기억과 함께한 산우님들이 나를 더욱 아련하게 한다. 그래도 그때가 그립다. 그리운 추억을 가슴에 모아 둘 수 있다는 것은 행복하다. 아련한 추억을 한장 한장 넘기며 여기 소중히 기록을 남긴다. 2020. 7. 9.
다시 만난 지난 추억 2010년에 개설한 블로그를 이제야 다시 찾았습니다. 잃어버린 지난 10년의 추억을 찾아 다시 꾸미는 행운을 얻었습니다. 아름다운 추억의 기억들을 오래도록 만날 수 있길~~~~ 바랍니다. 2020. 7. 9.
삶의 길잡이가 되는 명언 삶의 길잡이가 되는 명언 아래 ↓ 제목을 클릭 ! "삶의 길잡이가되는 명언" ( 클릭해도 창이 뜨지 않으면 Ctrl키를 누르고 다시 클릭해요 2011. 2. 3.
성공한 사람들의10가지 일상생활 성공한 사람들의10가지 일상생활 우리가 해야할 일들이 맞네요, 꼭 읽어 두시고 활용하세요. 1. 매우 매력적이고 현실적인 목표를 갖는다. 2. 오늘의 자신, 지금의 자신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3. 타인과 비교하지 않는다. 4. 적극적이고 낙천적이며 정열적인 사고를 갖는다. 5. 창조적인 상상력을 적극 활.. 2011. 2. 3.
미국의 어느 가족에 얽힌 이야기 루스벨트 이야기 미국의 어느 가족에 얽힌 이야기 다섯 명의 자식을 둔 한 아버지가 있었습니다. 그 중 한 명의 아들이 유독 병약하고 총명하지도 못하여 형제들 속에서조차 주눅 들어 있는 아들이 아버지는 늘 가슴 아팠다고 합니다. 어느 하루, 아버지는 다섯 그루의 나무를 사 왔습니다. 그리고 다.. 2011. 2. 3.
10분이 당신의 운명을 바꿉니다 10분이 당신의 운명을 바꿉니다 ** 10 분의 기적 ** 아침에 10 분만 일찍 일어 나십시요 하루가 내손안에 들어 옵니다 10 분만 먼저 출근 하십시요 업무와 인간 관계의스트레스가 확 날아 갑니다 10분만 음식을 씹어서 드십시요 만병이 떨어저 나갈 것입니다 10 분만 먼저 약속 장소에 나가 십시요 주도적 .. 2011. 2. 3.
내가 새벽 일찍 일어나는 이유 내가 새벽 일찍 일어나는 이유 - 鄭 周 永 - 서울아산병원에 문병을 갔을 때 병원 측이 환자들에게 주는 글을 읽어본 적이 있다.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이 생전에 한 말이었다. "나는 젊었을 때부터 새벽 일찍 일어난다. 왜 일찍 일어나느냐 하면 그날 할 일이 즐거워서 기대와 흥분으로 마음이 설레기.. 2011. 2. 3.
2009전국기능경기대회지도교사와 함께-터키 2009전국기능경기대회지도교사와 함께-터키 2010. 10. 26.
2009전국기능경기대회지도교사와 함께-그리스 2009전국기능경기대회지도교사와 함께-이집트 2010. 10. 26.
2009전국기능경기대회지도교사와 함께-이집트 2009전국기능경기대회지도교사와 함께-이집트 2010. 10. 26.
1당백 직업교육팀 장학사님과 함께 무등산에서 3 1당백 직업교육팀 장학사님과 함께 3 2010.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