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행일자 : 2021.03.28(일)
2. 누구랑 : 원산우회원 6인 번개산행
3. 산행구간 : 소석문-합장암터-석문산-대석문(구름다리)-팔각정-수리바위-암릉지대-각재-바람재-만덕산(깃대봉)-백련사-동백숲-다산초당-전남인재개발원(다산수련원)-소석문(차량원점) 약10km
4. 산행개념도 : 생략
5. 산행 소감
남녁에는 완연한 봄이다. 이맘때쯤이면 남도엔 진달래가 활짝 핀다. 어디 남도 뿐이랴! 전국 온 산하가 진달래 천국이 된다. 그래도 이맘때 진달래 하면 강진 덕룡산과 주작산을 으뜸으로 친다. 기암과 어울러지며 햇살을 타고 맑게 피어오른 진달래 붉은 빛깔이 곱고 풍광 또한 장관이기 때문이다.
강진엔 또 하나의 명산이 있다. 만덕산이다. 덕룡산과 주작산에 가려 그 빛이 가려 있지만 기암의 위풍이나 진달래 고운 빛깔 등 어느 것 하나 손색없는 명산이다. 더구나 옛 조상들은 만덕산 기암을 하늘에서 보면 마치 하얀 연꽃이 피어있는 것 같다 하여 백련산이라 했다가 만덕산으로 바꾸어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산 아래에는 고려후기 요세(원묘국사)에 의한 백련결사가 이루어진 백련사 라는 유서 깊은 사찰을 품고 있으며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목민심서 등 위민사상을 집대성한 다산초당이 자리잡고 있다. 조선 차문화를 완성한 초의선사와 다산 정약용이 백련사의 혜장스님을 찾아 오가면서 담소를 나누었던 고즈넉한 동백숲과 소나무 숲길은 남도 답사 1번지 길이기도 하다.
진달래가 활짝 핀 이 시기에 만덕산 진달래에 흠뻑 빠진 암릉 산행과 백련사-다산초당 남도답사 일번지 길을 걸으며 고려 시대 지눌의 수선사 정혜결사와 쌍벽을 이룬 요세의 백련결사를 생각하며, 조선 차문화를 완성한 초의 선사와 순조시대 천주교 박해인 신유사옥으로 유배온 다산 정약용을 만나면서, 당시 시대상들을 생각하며 오늘 우리가 어떻게 해야할 것인가?를 생각하는 포근한 산행길이다.
부안 출신 9살 소녀 트롯 가수 김태연양이 부른 '바람길'을 정약용의 심정이 되어 다시 듣는다. 애절하고 애달픈 심정이 오죽 하였을까?
바람길
길을 걷는다.
끝이 없는 이길
걷다가 울다가 서러워서 웃는다.
스치듯 지나는 바람에 기억보다도
애일듯 시리운 텅빈 내 가슴~
울다가 웃다가 꺼내 본 사진 속엔
빛바랜 기억들이 나를 더 아프게 해~
길을 걷는다
끝이 없는 이길
걷다가 울다가 서러워서 웃는다.
우~ 우~ 우~워~워~우~우
스치듯 지난는 바람에 기억보다 더
애일듯 시리운 텅빈 내 가슴~
울다가 웃다가 꺼내본 사진속엔
빛바랜 기억들이 나를 더 아프게 해~
아~
길을 걷는다
끝이 없는 이길
걷다가 울다가 서러워서 웃는다.
서러워서 웃는다.
6. 산행추억
석문산은 만덕산과 덕룡산 사이에 있으면서 대석문과 소석문을 동시에 거느리고있다. 일반적으로 덕룡산을 오른사람은 소석문에서 오르고 만덕산을 오른사람은 대석문에서 오른다. 그러다 보니 석문산을 오르는 것이 여의치 않아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에는 소석문에서 출발하여 석문산을 찍고 대석문을 거처 만덕산으로 가려한다.
만덕산 백련사(백련결사)
원묘국사 요세(1163~1245)는 고려 후기 정혜결사를 일으킨 지눌과 쌍벽을 이룬 고려 승려이다. 고려 후기 불교가 문벌귀족과 결탁하여 타락하고 있을 때 불교계에 대한 자각과 반성의 성격을 띤 신앙결사가 전개되었다. 이중 대표적인 것이 지눌(1158~1210)이 개창한 것으로 뒤에 수선사로 사액된 정혜결사와 요세의 백련결사이다.
지눌과 요세는 고려의 타락한 불교를 바로 세우기 위한 불교정화운동을 하신 분이지만 그 실천 방향에서는 다른 길을 걸었다. 지눌이 돈오와 정혜를 말하였다면 요세는 참회와 정토를 주장하였다. 지눌이 선사상을 깨우치고 최소한 지혜를 갖고 스스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중생이 대상이였다면, 요세는 자력으로 해탈할 수 없는 무지한 범부중생을 대상으로 여겼다.
천태종의 승려인 요세는 처음에는 지눌과 같이 수선을 통해 불교계를 비판하는 견지에서 신앙결사에 뜻을 두었지만, 그 뒤 천태의 묘해의 참뜻을 깨닿게 됨으로써 입장이 달라지게 되었다. 요세는 참회행과 미타정토신앙을 실천방향으로 강조하고 지눌의 선사상과 달리 농민, 천민층을 포함한 피지배층을 대상으로 했다. 그 결과 정토 신앙이 민중 깊이 뿌리 내릴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요세가 백련결사를 통해 참회와 정토를 주장한 것은 최소한 지혜의 힘마저도 없고, 근기마저 너무 열등하여, 도저히 참선을 할 수 없는, 힘없고 나약한 하근기의 범부중생을 제도하고 싶었던 것이다. 자력으로는 도저히 해탈할 길이 없는 가련한 중생들에 대한 그의 끊없는 연민이 바로 백련결사의 숨은 동기이다. 그렇기때문에 요세가 백련결사에서 법화교관을 바탕으로 하여 참회행과 미타정토신앙을 실천방향으로 제시한 것은 대다수 농민 천민 층에게 불교 신앙의 활로를 터주고자한 보살행에서 우러나온 것이다.
요세는 백련사결사를 통해 자기의 죄를 고백하고 참회하고, 염불을 함으로써 극락정토에 나갈 수 있는 방편을 모색하였다. 진흙구덩이를 외면하지 않고 오히려 깊숙히 뿌리를 내려 흰연꽃을 피우리라 결심하였다.
국가권력에 의해 무참히 희생당한 무고한 백성이 동백꽃 처럼 쓰러져 간 것이 어디 제주43뿐이랴! 여수사건이 그렇고 한국전쟁 당시 거창 양민학살사건을 비롯한 무수히 많은 양민학살이 그렇고 광주518이 그렇다. 모란이 피면 모란으로~ 동백이 피면 동백으로~ 라고 트롯가수 장민호가 상사화를 부르며 사랑의 애달픔을 절절히 부르지만 나는 그 애달픔이 억울하게 죽어간 이땅의 백성들의 원한으로 다가와 아프게 가슴을 후빈다. 이제는 국가권력에 희생당한 무고한 희생에 대한 역사적 진실구명을 하고 억울한 한을 보듬어주여야 하며 정당한 배보상을 해주어야 한다. 다시는 국가 권력에 의해 무참히 희생당하고 인권이 유린당하는 일이 없는 국가를 만들고 지켜야 할 몫은 우리의 몫이다.
남도의 동백숲에는 고창 선암사 동백숲과 광양 옥룡사 동백숲, 강진 백련사 동백숲, 나주 불회사 동백숲이 유명하다. 한번쯤은 꼭 가보면 좋을 동백숲이다. 그외에도 장흥 천관산 동백숲이나 월출산 골짜기 동백숲, 진도 점철산 오름길에 만난 동백숲, 해남 대흥사 동백숲, 완도 상왕봉 동백숲 등 남도는 동백숲이 나름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 많다. 선암사 동백숲은 매우 유명하여 도회지 같고, 옥룡사 동백숲은 너무 조용하고 고즉넉 하다. 나주 불회사 동백숲이 수줍다면 백련사 동백숲은 씩씩하고 정겹다. 남도 어디에서 동백을 만나든 남도의 따스한 햇살을 받아 피어나는 붉은 꽃잎은 남도 여인들의 한과 서러움을 안고 찌어지게 간난한 시절 오직 자식의 성공을 위해 예쁘게 바르고 싶은 리스틱 대신 흙에 뭍힌 호미자루에 자신의 삶을 모두 불살라버린 우리네 어머님들의 한많은 삶을 느끼게 한다. 남도의 동백은 그래서 숙연하고 성스럽다.
송풍루라고도 불리는 동암은 다산이 집필에 필요한 2천여권의 책을 갖추고 기거하면서 손님을 맞이하는 곳이다. 다산은 초당에 있는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이 동암에서 집필에 몰두하였고 목민관이 지녀야할 정신과 실천방법을 적은 목민심서도 이곳에서 완성하였다.
'100+ 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11.28. 경남 함양군 대봉산(계관봉) 산행 (0) | 2021.11.28 |
---|---|
2021.11.21. 경남 합천 매화산 남산제일봉(1,010m) 산행 (0) | 2021.11.23 |
2021.01.10. 전북 남원 보절 만행산(909.6m) 100+ 명산 눈꽃 산행 (0) | 2021.01.16 |
2020.12.05. 화순 백아면 백아산(810m) 하늘다리와 암릉 그리고 추억의 산행길 (0) | 2020.12.06 |
2020.11.08. 산청 왕산(923.2m) 100+명산-구형왕릉과 유의태, 허준의 동의보감촌 산행 (3) |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