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집 이야기

2024.04.14. 담양 용면 용추산 용추사 탐방

by 하여간하여간 2024. 4. 23.

◎ 용추사 龍湫山龍湫寺/전통사찰

위치 : 전남 담양군 용면 용연리 용추산 용추봉 아래

 

대한불교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白羊寺)의 말사이다.

526년(성왕 4)에 혜총(惠聰)과 혜증(惠證)이 창건하였으며, 624년(무왕 25)에는 원광(圓光)이 원당(願堂)으로 삼아 중창하였다고 전한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1630년(인조 8)에 태능(太能)이 중창하였으며, 1949년에 빨치산들 이 이 절을 점거하자 국군이 전략상 소각하였다. 그 뒤 1961년에 본래의 절터로부터 위쪽으로 300m 가량 올라간 곳에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가마골에 세워진 용추사 진입로 표지석

 

가마골 용추사 표지석 입구에서 임도를 따라 자동차로 5.0km를 오르거나, 가마골 관리사무소에서 제1등산로를 따라 용연1-2 폭포를 지나 걸어 오르거나, 용소폭포에서 신성봉을 지나 임도를 타고 걸어 오면 이곳 용추사 삼거리에 도달한다.

 

용추사삼거리에서 바라본 용추봉과 용추사가 있는 계곡

 

용추사로 오르는 길엔 자주괴불주머니 꽃이 만발하였다.

 

용추사 입구 표지석

 

처음 와 분 용추사 입구 표지석에서 인증

 

용추사로 가는 길엔 노오란 민들레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쇠뜨기 생식줄기

 

용추봉 아래 깊은 골짜기에 분지처럼 넓은 평지가 있고 이곳에 용추사가 자리 잡고 있다.

 

용추사 입구 요사체

 

 

◎ 용추사 천불전

 

다른 절집은 주불전이 대웅전이나 대웅보전이거나 극락전이나 또는 대적광전 등 인데 이곳은 천불전이다. 해남 대흥사에 천불전이 있고 가끔 절집에 천불전이 있지만 주불전은 아니다. 그러나 이곳은 주 불전으로 천불전이라 했다. 어떤 연유일까? 설명이 없으니 알 수가 없다. 용추사는 주불전인 천불전과 뒤쪽에 삼성각과 요사체가 있어 매우 왜소한다. 일주문이나 천왕문, 관음전나 지장전, 명부전, 범종각 등 어느 절집이나 있을 법한 전각들이 없다. 처음와 본 용추사는 기대 보다 초라하고 이제야 어느 주지 스님이 발원하고 복원하나 보다. 

 

 

 

용추봉 아래 가마골 깊은 골짜기에 있는 용추사는 위치가 고즈넉하고 하늘이 열려 절집으론 제격이다. 한국전쟁 때 아마 이곳이 빨치산들의 본거지로 사용하였을 것 같다. 빨치산 토벌 시 이 절도 전소되었다가 1960년도에 복원되었다. 10년전 천불전은 채색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지금은 건물 밖은 채색을 하였고 천불전 안은 이제 복원하는 과정에 있는 것 같다. 새로 중창하는 과정인가 보다.

 

 

천불전 안을 들여다 보았다.주 불은 석가모니 불과 좌우에 지장보살과 관음보살이 협시를 하고 있다. 후불 탱화가 근사하다. 불전에는 천불이 있어야 하는데 아직 텅 비어 있다. 내부 치장도 없다. 2010년 자료에는 천불상이 놓였었는데 언제부터 무슨 사유로 새로 천불전을 중창하는지 알수가 없다. 이제 다시 시작하나 보다. 텅빈 천불전에 천불상이 가득하고 언젠가 화려한 옛 용추사의 번영을 복원할 시간이 올 것을 기대한다.

 

2010년경에는 천불전은 채색이 되지 않은 상태이다.

 

2010년경 천불전 안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중심으로 지장보상과 관세음보살이 협시를 하고 양 옆으로 천불상에 있다.

 

용추산 너른 분지에 넉넉히 자리잡고 있는 천불전을 다시 한번 바라보면서

 

"아늑하고 고즈넉한 절집 주변 환경이 매력적이다." 라고 느낀다. 이곳 용추사가 앞으로 크게 번창하길 기원해 본다.

 

천불전 앞에서 용추사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며 인증 한장

 

◎ 용추사 삼성각

 

용추사 삼성각

 

2010년 경 담양 용추사 삼성각

 

2010년경 삼성각 안의 부처님을 중심으로 좌우에 산신이 모셔져 있다.

 

 

 

언젠가 다시 올 것을 다짐하며 셀카 한장을 남기고 

 

용추사에서 깊은 계곡을 내려가다가 양봉농가를 만나고 양봉농가 뒷 수풀속에 용추사 부도전이 있다.

 

◎ 담양 용추사 부도군

 

 

담양 용추사 부도는 소요당, 월파당, 춘담, 연봉당, 태원당, 일곡당 6점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1988년 1월 초에 5점이 도난되었다가 이듬해 7월 6일 1점을 회수하였다. 현재 4점을 회수 하지 못한 상태로 문화재로서의 기능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1986년 2월 7일 전라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38호로 지정되었다가 도난으로 인한 가치 상실의 사유로 1992년 3월 9일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부도 설명판의 내용은 오래 되어 빈탕이다. 누군가 다시 복원하길 바래 보다. 특히 담양군에서 문화재로서 다시 복원하는데 관심을 갖길 바란다.

 

 

◎ 소요당 태능(1562년/명종 17 ~ 1649년/인조 27, 전남 담양 출신)

서산대사 휴정의 전법제자, 소요파 개조(開祖). 시호는 혜감선사(慧鑑禪師)로 1652년(효종 3)에 효종이 내렸다.

소요당 태능 부도는 구례 연곡사, 담양 용추사, 장성 백양사(보물), 김제 금산사(혜감선사 비도 있음), 연천 심원사지.

올 5월에 구례 연곡사에서 소요당 태능 부도(보물)를 봤다. 

도난 당한 다섯 점 가운데 회수한 한 점이 소요당 부도인 모양이다. 복원하였지만 원래 모습과는 조금 다르다고 한다.

 

소요당

 

◎ 일곡당 

도난 당한 후새로 만든 부도.

일곡당

 

◎ 태원당

 

도난 당한 후새로 만든 부도.

태원당

 

◎ 혜명당(1861년/철종 12 ~ 1937년, 충남 예산 출신), 호는혜월(慧月)

1908년부터 도리사(桃李寺), 파계사(把溪寺) 성전(聖殿), 울산 미타암(彌陀庵), 통도사, 천성산 내원사(內院寺) 등에서 후학 지도. 그 시절 만공(滿空)의 사찰건축, 용성(龍城)의 역경(譯經), 혜명의 개간사업을 높이 받들어, 세 고승을 당대 3대 걸승이라 하였다. 

 

도난 당한 부도 대신에 새로 만든 부도.

 

혜명당

 

◎ 이름없는 부도

 

 

◎ 월파당

 

월파 태율(月波兌律, 1695년/숙종 21 ~ 1775년?)인지는 모르겠다. 전북 전주 출신, 묘향산 일대에서 수행하였다. '월파집'이 있다.

동사열전 <금주 복혜> 편에 월파 태율 기사가 조금 있다. 금주 복혜 스승이 월파 태율이다.

춘담

동사열전에 춘담 대연, 춘담 몽인, 춘담 양옥 등 세 사람이 나오고 이들 전기는 없고 다른 이 전기에 이름이 나온다.

춘담 대연은 완주 화암사 주석, 보경 혜경(1819년~ ?)의 스승.

춘담 몽인의 스승은 나암 승제이다.

춘담 양옥은 나주 출신 방월 의연의 스승으로 해남 대흥사에 머물렀다.

연봉당, 이 승려에 대한 기록은 찾아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