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9정맥92

2005.03.21. 낙남정맥10차(원전고개-돌고지재) 산행 낙남정맥10차 1. 산행일자 : 2005.03.21.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산행구간 : 원전고개-마곡고개-백토재-천왕봉(602)-돌고지재 4. 산행추억 2021. 7. 14.
2005.3.13. 낙남정맥9차(돌장고개-원전고개) 산행 낙남정맥9차 1. 산행일자 : 2005.03.13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산행구간 : 돌장고개-실봉산(185)-비리재-유수교-태봉산(190)-선덜재-별악산(205)-원전고개 4. 산행추억 2021. 7. 14.
2005.03.06. 낙남정맥8차(부련이재-돌장고개) 산행 낙남정맥8차 1. 산행일자 : 2005.03.06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산행구간 : 부련이재-양전산(310.3)-봉대산(409)-귀룡산(352)-돌장고개 4. 산행추억 2021. 7. 13.
2005.02.20. 낙남정맥7차(큰재-부련이재) 산행 낙남정맥4차 1. 산행일자 : 2005.02.20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산행구간 : 큰재-무량산(581.4)-화려치-대곡산(542.8)-가리고개-천황산(342.5)-백운산(391)-부련이재 4. 산행추억 2021. 7. 13.
2005.01.30. 낙남정맥5차(한티재-비살재) 산행 낙남정맥4차 1. 산행일자 : 2005.01.30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산행구간 : 한티재-대부산(649.2)-서북산(738.5)-소무덤봉(668)-여항산(770)-미산재-비살재(오곡재) 4. 산행추억 2021. 7. 13.
2005.01.23. 낙남정맥 4차(두척교-한티재) 산행 낙남정맥4차 1. 산행일자 : 2005.01.23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산행구간 : 두척교-무학산-대곡산-바람재-대산-관산-광려산-한티재(15.6km) 4. 산행추억 또다른 2020. 7. 31.
2004.12.26. 낙남정맥2차(나전고개-남산치) 산행 낙남정맥2차 1. 언제 : 2004.12.26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마루금 : 나전고개-망천고개-낙원공원묘지-금음산(376.1)-황새봉(392.1)-불티재-장고개-냉정고개-용지봉(744)-대암산(670)-남산치(24.8km) 4. 산행추억 2020. 7. 24.
2004.12.12. 낙남정맥 1차(메리2교-나전고개) 산행 낙남정맥 1차 1. 언제 : 2004.12.12 2. 누구랑 : 정맥산악회 3. 마루금 : 메리2교-동신어산(459.6)-신어산(631.1)-영운리고개-나전고개 (19.9km) 4. 산행추억 2020. 7. 24.
한북정맥 개념도(2) 한북정맥 개념도 2020. 7. 23.
한남정맥 개념도(산과 사람) 한남정맥 개념도 2020. 7. 23.
금북정맥 개념도 (2) 금북정맥 개념도 2020. 7. 23.
금강기맥(대동금남정맥) 개념도 금강기맥 개념도 2020. 7. 23.
금남정맥 개념도 금남정맥 개념도 2020. 7. 23.
낙동정맥 개념도(2) 낙동정맥 개념도(2) 2020. 7. 22.
한북정맥 개념도 한북정맥 개념도 2020. 7. 21.
금남호남정맥 개념도(산과 사람) 금남호남정맥 개념도(산과 사람) 2020. 7. 21.
금남호남정맥 개념도 금남호남정맥 개념도 2020. 7. 21.
금북정맥 개념도 금북정맥 개념도 2020. 7. 21.
한남금북정맥 개념도(2) 한남금북정맥 개념도(2) 2020. 7. 21.
금남호남정맥과 금남호남정맥 산경도 금남호남정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발취)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은 백두대간의 장안산(長安山, 1,237m)에서 시작되어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끝나는 산줄기로 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유역의 경계를 만들고, 호남정맥과 더불어 금강과 섬진강유역의 경계를 만든다. 주요 산​[편집] 금남호남정맥은 북쪽 사면에서 올라가 금강의 발원지인 장수군 수분리의 뜬봉샘에서 천천(天川), 연평천에 이르는 물줄기가 금강을 만들고 401km를 흘러 남쪽 사면에 가서는 임실의 오원천(烏院川)과 만나 225km의 섬진강을 만든다. 연결된 주요산은 수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八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 2020. 7. 20.
금북정맥과 금북정맥 산경도 금북정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발취) 금북정맥(錦北正脈)은 한반도 13정맥(正脈) 중 하나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속리산(俗離山)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안성시(安城市) 칠장산(七長山)에서 금북(金北)·한남(漢南)으로 갈라지면서 칠장산(七長山, 516m)에서 시작된 산세가 태안반도(泰安半島) 지령산(知靈山, 218m)에 이르러 산세를 끝낸다. 그 길이가 약 240km에 이른다. 북서로는 안성천(安城川)·삽교천(揷橋川)을 아우르고 남으로 길게 이어진 사면을 따라 금강(金江)이 흐른다.‘금북정맥’이라는 이름은 금강의 북측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주요 산​[편집] 금북정맥은 경기도 죽산(竹山)에 있는 칠장산(七長山, 516m)에서 시작되어 충청남도 천안의 청룡산(靑龍山,.. 2020. 7. 20.
한남정맥과 한남정맥 산경도 한남정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발취) 한남정맥(漢南正脈)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이 안성 칠장산(七長山)에서 한남·금북으로 갈라져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 1정간 13정맥중의 하나로, 한강 줄기의 남쪽에 있는 분수령이라 하여 한남정맥이라 부르며 경기도의 한강 본류와 남한강의 남쪽 유역의 분수령으로 해발 100m 미만의 낮은 등성이의 연결로서 서쪽에 위치한 인천·시흥·안산 등의 산줄기를 만들다가 용인과 수원에 이르러 제법 큰 산세를 이룬다. 남쪽으로 금북정맥(錦北正脈)을 이루며 오산과 평택·천안 등 아산만을 중심으로 한 해안평야와 경계를 만든 산줄기이다. 최근에는 경인 아라뱃길에 의해 산줄기의.. 2020. 7. 20.
한남금북정맥과 한남금북정맥 산경도 한남금북정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발취) 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은 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된 정맥으로 안성 칠현산(七賢山)에서 끝맺는 정맥으로 한남·금북으로 이어주어 서북쪽으로 김포 문수산(文殊山)과 서남쪽으로 태안반도 안흥까지 이르게 하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산경표》에서 규정한 1대간 1정간 13정맥중의 하나로, 해발 400∼600m의 산들로 연결되었으나 때로는 100m의 낮은 구릉으로 이어지기도 한 이 산줄기는 동쪽으로는 괴산·음성·충주 등 중원의 남한강지역과 서쪽으로 이어지는 보은·청주·증평·진천 등 금강 북부지역의 생활 문화권을 영유하였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접경지역이기도 하였지만 현재는 중부지방과 호남지방의 자연스러운 한 경계를 이루고 있다. 주요 산​[편집].. 2020. 7. 20.
낙동정맥과 낙동정맥 산경도 낙동정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발취) 낙동정맥(洛東正脈)은 한반도 13정맥의 하나로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강원도 태백시의 구봉산(九峰山)에서 부산 다대포의 몰운대(沒雲臺)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이다. 낙동간 동쪽의 수계를 이루며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동해안과 낙동강유역의 내륙을 가르는 분수령산맥이다. 현재의 태백산맥 남부에 해당되지만, 분수령산맥의 개념으로 산줄기를 파악한 우리 조상들의 산맥인식으로는 해안지방과 내륙지방의 자연조건에 따른 식생과 생활환경의 분기라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주요 산​ 낙동정맥은 조선시대 조상들이 인식하던 한반도의 산줄기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정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산과 물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상에서 비롯된 이.. 2020. 7. 20.